인공지능과 국제평화·안보 주제
“잘 활용하면 저성장 등 난제 해결
대비 못하면 지구촌 불평등 심화
지혜 모아야 모두를 위한 AI 가능”
“에이펙 AI 이니셔티브 채택 추진
韓, 국제사회 협력 주도 앞장” 강조
이재명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인공지능(AI)과 국제평화·안보’를 주제로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공개토의를 주재하고 국제사회가 AI 사용에 책임 있는 이용이라는 원칙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이 올해 안보리 의장국을 맡으면서 한국 대통령이 역사상 처음으로 안보리 회의를 주재했다.
이 대통령은 ‘AI와 국제평화·안보’를 이날의 토의 주제로 채택하고, 의사봉을 두드려 토의 시작을 알렸다. 이후 각국 정상들이 이 대통령과 한국 정부를 향해 “회의를 주재한 것에 감사드린다”고 인사한 뒤 각자 준비한 발언을 이어갔다.

이 대통령은 회의에서 “‘현재의 AI는 새끼 호랑이와 같다’고 하던 제프리 힌턴 교수의 말이 떠올랐다”면서 “우리 앞의 새끼 호랑이는 우리를 잡아먹을 사나운 맹수가 될 수도 있고,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나오는 사랑스러운 더피가 될 수도 있다”고 연설을 시작했다. 이 대통령은 “똑같은 칼도 요리사에게는 다른 사람을 행복하게 만들 훌륭한 도구지만 강도에게는 그저 남을 해치는 위협적인 무기”라면서 “특히 AI는 지식과 정보 처리 전 과정에서 가장 파괴적 혁신을 가져올 발명품이고, 심지어 스스로 인간처럼 판단과 결정까지 내릴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AI를 잘 활용한다면, 저성장, 고물가 같은 난제를 해결해서 새로운 번영의 길을 열어내고, 의료, 식량, 교육 등 여러 문제에 해답을 줄 수도 있다”면서 “그러나 변화에 대비하지 못한 채 끌려간다면 극심한 기술 격차가 ‘철의 장막’을 능가하는 ‘실리콘 장막’으로 작동해서 전 세계적인 불평등과 불균형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대통령은 “명과 암이 공존하는 AI시대의 변화를 기회로 만들 방법은 국제사회가 단합해서 ‘책임 있는 이용’의 원칙을 바로 세우는 것뿐”이라며 “각국 정부와 학계, 산업계, 시민사회가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아야 ‘모두를 위한 AI’, ‘인간 중심의 포용적 AI’로의 혁신을 이뤄낼 수 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특히 안보리의 책임이 막중해졌다”면서 “AI를 잘만 활용하면 대량살상무기 확산을 감시하는 등 분쟁을 예방하고 평화를 유지하는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지만, 통제력을 상실한다면 허위 정보가 넘쳐나고 테러, 사이버 공격이 급증하는 디스토피아의 미래를 피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 AI가 인류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주도하는 길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다음달 경북 경주에서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이펙) 정상회의와 관련해 “인공지능이 인류의 번영에 기여할 수 있도록 ‘APEC AI 이니셔티브’ 채택을 추진하고 있다”며 “기술 발전의 혜택을 모두 함께 누리는 ‘AI 기본사회’, ‘모두의 AI’가 새로운 시대의 뉴노멀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 대통령은 회의 직전 약식브리핑에서 “이번 회의 주재를 무척 뜻깊게 생각한다”며 “특히 전 유엔 회원국을 대상으로 처음 열리는 AI 주제 토론회라는 점에서 의미가 더욱 각별하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오늘날 AI 기술의 발전은 우리 일상을 변화시키는 것을 넘어 국제적인 안보 환경까지 급격히 바꾸고 있다”면서 “80년 전 출범 당시 유엔의 주요 관심사가 ‘새로 등장한 핵무기 위협을 어떻게 관리하느냐’였다면, 이제는 AI라는 새로운 위협과 도전에 걸맞은 새로운 거버넌스를 모색할 시기”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한국이 안보리 이사국을 맡은 것은 1991년 유엔 가입 이래 이번이 세 번째”라며 “유엔의 도움으로 전쟁의 폐허를 딛고 민주화와 경제 번영을 동시에 달성한 대한민국이 이제는 인류의 평화와 공동번영을 위해 역할과 책임을 다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