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용량은 하루에 4000㎎ 넘지 않아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임신부는 ‘아세트아미노펜’ 성분 해열·진통제를 의사, 약사 등 전문가와 상의하고 복용 가능하다고 발표했다.

식약처는 최근 미국 정부의 ‘타이레놀’(성분명 아세트아미노펜)에 대한 발표와 관련해, 현재 시점에서 국내 임신부는 아세트아미노펜 성분 해열·진통제를 기존 사용상의 주의사항대로 의사, 약사 등 전문가와 상의하고 복용 가능하다고 25일 밝혔다.
식약처에 따르면 임신 초기 38℃ 이상의 고열이 지속되면 태아 신경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증상이 심할 경우 아세트아미노펜 성분 해열·진통제를 복용할 수 있다. 다만, 복용량은 하루에 4000㎎을 넘지 않도록 한다.
통증 완화에 사용하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 나프록센 등)는 태아 신장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임신 20~30주에는 꼭 필요한 경우에만 최소량을 최단기간 사용하고, 임신 30주 이후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개인별로 의료적 상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임신부는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이 포함된 의약품을 복용하기 전에 의약전문가와 상의해야 한다. 현재 타이레놀 등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이 포함된 의약품의 국내 허가 사항에는 임신 중 복용과 자폐증간 연관성에 대한 내용은 없다.
아울러 식약처는 해당 업체에 미국 정부의 발표에 대한 의견 및 자료 제출을 요청했다. 관련 자료 및 근거에 대해 지속적으로 신중히 검토해 새로운 과학적 증거 및 사실이 발견되면 사용상의 주의사항 등에 반영할 계획이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2일 임신 중 타이레놀을 복용할 시 자폐증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대통령 전용 인터넷 계정을 통해서 발표한 바 있다.
“타이레놀을 먹지 말라”는 임산부에 대한 권고는 트럼프 대통령이 그 동안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열 두 번도 넘게 주장해 온 내용이다.
트럼프는 산모들에게 아기에게 아세타미노펜이란 이름의 약 (타이레놀)을 먹이지 말라는 등 자폐증에 관련된 오래 전에 폐기된 주장까지도 발표할 것이라는 예상이 미국의 각 일간지 등을 통해서 이달 초 부터 기사가 올라왔었다.
트럼프대통령은 백신 접종의 시기와 여러가지 접종에 따라서 어린이 자폐증이 증가한다는 의학적인 확증이 없는 주장도 함께 내놓았다.
트럼프의 발표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아니라 기존의 오랜 연구 결과나 풍문에 의존해서 내놓은 듯 보인다. 이는 그의 “미국을 다시 건강하게”( Make America Healthy Again) 캠페인에 따라 자폐증의 원인 연구에 박차를 가하는 일과도 무관하지 않다. 백신 반대 활동가들의 주장들을 수용해 온 결과이기도 하다.
트럼프는 1기 집권시 코로나 19 유행기에도 코로나 백신에 대한 반대와 무자비한 금지로 논란을 일으켰다. 그 이후로도 어린이 백신 접종의 의무화와 접종 시기 등을 두고 끊임없이 문제를 제기했다.
트럼프는 식품의약청도 의사들에게 세타미노펜이 자폐증 유발과 증대 위험이 있다는 사실을 알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왜 갑자기 특정 약을 거론했는지를 정당화할 만한 아무런 설명도 더 해주지 않았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