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가 25일 미국 비자 문제가 해결되기 전까지 한국의 미국 내 투자 프로젝트가 불확실한 상태에 머무를 것이란 입장을 밝혔다. 최근 미 조지아주에서 벌어진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 여파로 근로자들이 미국 입국을 꺼릴 수밖에 없는 상황을 지적한 것이다.
김 총리는 이날 보도된 블룸버그통신 인터뷰에서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의미 있는 진전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인터뷰는 전날 서울에서 진행됐다.

그는 최근 미국과의 비자 문제를 언급하며 “(한국의 미국 내 투자) 프로젝트가 완전히 중단되거나 공식적으로 보류된 것은 아니지만, 이 문제(비자 문제)가 풀리기 전까지는 많은 인력이 미국에 신규 입국하거나 재입국하기가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달 초 미 당국이 조지아주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 공장 건설 현장에 대해 벌인 대대적인 이민 단속으로 한국인 근로자 수백명이 구금되는 사태가 벌어졌던 만큼 현재 근로자들이 미국 입국을 원치 않고 있다는 것이다.
김 총리는 “그들의 안전에 대한 확실한 보장이 없는 상황에서 이들(근로자들)과 그 가족들이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채 다시 미국에 들어가기를 꺼리는 것은 당연하다”고 강조했다.
김 총리의 인터뷰 내용이 최근 한·미 간 논의되고 있는 3500억달러 투자 협상과도 연관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자 국무총리실은 이날 “3500억달러 투자와는 무관한 내용”이라며 “현재 미 조지아주에서 진행 중인 투자와 관련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총리실은 또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한국 근로자들과 그 가족들이 미국 입국을 굉장히 꺼리는 상황임을 설명한 것일 뿐 투자를 유보한다는 의미의 발언을 한 것은 아니다”고 했다.
김 총리는 인터뷰에서 3500억달러 대미 투자 방식과 관련해선 “(3500억달러는) 한국 외환보유액의 70% 이상에 해당하며, 미국과의 통화스와프 협정이 없으면 한국 경제는 심각한 충격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이 요구하는 현금 투자 방식을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정부 입장을 재차 확인한 것이다. 김 총리는 진행 중인 협상의 구체적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으나, 한국에 중대한 재정 부담을 주는 합의안은 국회 승인이 필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협상이 내년으로 넘어가지 않기를 바란다”고 했다.
안보와 관련해선 독자적 국방력 강화를 위해 향후 10년간 국방비 지출을 국내총생산(GDP) 대비 3.5%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김 총리는 “최근 3.5%라는 수치를 언급한 것은 우리가 감당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총리실은 국방 예산 증액은 여전히 논의 중이며 최종 결정은 내려지지 않았다고 밝혔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