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생애주기별’ 동물복지…경기도, 구조·보호·입양·장례 등에 5년간 2893억 투입

입력 : 2025-09-24 17:00:00 수정 : 2025-09-24 16:21:44
수원=오상도 기자 sdoh@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2029년까지 4대 분야 41개 세부과제 추진
제3차 동물복지 종합계획 수립...5년간 진행
동물 위한 가축행복농장 확대…장례도 책임

경기도가 ‘요람에서 무덤까지’ 생애주기에 따른 동물복지에 5년간 2893억원을 투입한다. 

 

24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최근 수의법의학센터 운영, 권역별 반려마루 조성, 연관 스타트업 발굴 등의 내용을 담은 ‘제3차 경기도 동물복지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반려마루 여주. 경기도 제공

이번 계획은 △동물복지 안전망 강화 △인프라 확충 △반려문화 확산 △영업 관리 및 연관산업 육성의 4개 분야 41개 세부 과제로 구성됐다.

 

우선 안전망 강화에선 재난·긴급 동물구조, 동물 등록제 지원 등 22개 사업에 1589억원이 배정됐다.

 

위기에 처한 동물구조와 실외견·길고양이 중성화 지원, 입양 전문센터 조성, 입양비 지원 외에 농장동물 복지를 위한 가축행복농장 확대와 은퇴 봉사동물의 입양·장례까지 영역을 확대했다. 사람에게 적용되던 기존 생애주기별 복지정책의 틀이 동물까지 확장된 셈이다.

수의법의학센터. 경기도 제공

인프라 확충에서는 동물보호센터 확충, 권역별 반려마루와 반려견 놀이터 확대 등 8개 사업에 686억원을 쓴다. 반려문화 확산을 위해선 ‘반려동물의 날’ 기념행사와 문화축제 개최, 동물복지위원회 운영 등 7개 사업에 560억원이 투입된다. 이 중 도내 대다수 지역에서 이미 자취를 감춘 ‘개 식용 종식’은 2027년 2월, 동물복지를 감시할 ‘명예 동물보호관’ 450명으로 확대는 2029년까지 기한이 잡혔다.

 

이밖에 연관산업 육성 분야에는 기업 간 거래(B2B) 박람회 개최, 스타트업 발굴, 전시관 운영, 공공 장묘시설 확충 등 4개 사업에 58억원이 배정됐다.

‘제3차 경기도 동물복지 종합계획’.

도 관계자는 “정부의 제3차 동물복지 종합계획과 보조를 맞추되 도의 여건을 고려해 동물복지 정책을 강화했다”며 “이번 계획을 통해 경기도가 전국 동물복지의 선도 모델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오피니언

포토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
  • 박규영 '사랑스러운 볼하트'
  • 유진 '강렬한 눈빛'
  • 박보영 '뽀블리의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