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망 원인 4위인 ‘손상’…5년 내 사망률 10만 명당 54→38명으로 낮춘다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9-24 15:50:05 수정 : 2025-09-24 15:50:05
장한서 기자 jhs@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정부가 국내 사망 원인 4위에 해당하는 ‘손상’ 사망률을 낮추기 위한 맞춤형 예방 정책을 수립해 추진한다. 인구 10만명당 54명꼴인 손상 사망률을 5년 안에 38명까지 낮추겠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손상 고위험군 발굴과 교육을 강화할 방침이다.

 

질병관리청은 24일 국가손상관리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제1차 손상관리종합계획(2026∼2030)’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이 종합계획은 지난 2023년 국회를 통과한 손상예방법이 올해부터 시행됨에 따라 마련됐다. 손상예방법은 손상을 국가 차원에서 관리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국가손상관리위원회와 손상관리센터를 설치하고, 5년마다 부처를 아우르는 손상관리종합계획을 수립하도록 했다. 14개 관계부처와 각 분야 전문가, 학회 등이 머리를 모아 첫 종합계획이 완성됐다.

사진=연합뉴스

‘손상’은 질병을 제외한 각종 사고, 재해, 중독 등 외부적 위험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신체·정신적 건강 문제나 후유증을 의미한다. 2023년 기준 손상은 우리나라 전체 사망 원인 4위, 입원 원인 1위에 해당한다.

 

질병청은 손상사망률 감소, 비의도적 손상입원율 감소 등을 목표로 5대 추진전략 및 16개 추진과제로 구성했다. 5대 추진전략은 △손상예방∙관리 조사∙연구 활성화 △우선순위 손상기전별 위험요인 관리 △생애주기별 맞춤형 손상예방 △손상 대응 및 회복지원 강화 △손상예방·관리 기반 조성이다. 이를 바탕으로 2023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54.4명인 손상사망률을 2030년 38명, 비의도적 손상입원률은 같은 기간 2113명에서 1930명까지 낮추겠다는 각오다.

 

정부는 우선 손상통합정보관리시스템 플랫폼 구축을 통해 손상 감시체계의 기능 및 활용을 고도화해 손상 발생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계획이다. 또 자살, 폭력, 약물 중독 등 의도적 손상과 교통사고∙추락∙낙상 등 비의도적 손상의 예방을 강화한다. 개인형 이동수단(PM) 등에 따른 손상에 대한 관리 체계도 구축한다.

 

아동학대와 이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아동학대 전담 의료기관인 새싹지킴이병원의 역할을 강화하고, 경찰·지자체에서 아동보호 전문기관으로 이어지는 학대 아동보호 인프라를 강화하는 차원에서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손상은 일상생활 중에 발생하는 우연한 사건이 아닌 예방 가능한 건강 문제”라며 “질병청은 이번 종합계획 수립을 통해 각 부처에 흩어진 정책을 국민 건강 보호의 관점에서 모니터링하고 조정하는 새로운 역할을 맡게 되며 관계기관 간 긴밀한 협업을 통해 손상 발생 이전부터 이후까지의 전 과정을 포괄하는 예방·관리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질병청은 이번 종합계획 의결에 따라 연말까지 2026년 시행계획 수립을 위해 관계부처와의 논의를 이어가고, 각 시·도의 시행계획 수립을 지원할 계획이다.


오피니언

포토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
  • 박규영 '사랑스러운 볼하트'
  • 유진 '강렬한 눈빛'
  • 박보영 '뽀블리의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