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합의 강한 접착력 등을 이용해 인간 장기 출혈을 신속히 막는 지혈 스펀지가 개발됐다.
포스텍(포항공대)은 화학공학과·융합대학원 차형준 교수, 화학공학과 차혜교 석사, 기계공학과·IT융합공학과·생명과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 연구팀이 생체 흡수성과 조직 접착성을 동시에 갖춘 생체 흡수성과 조직 접착성을 동시에 갖춘 복합 지혈 스펀지를 만들었다고 24일 밝혔다.

수술할 때 치명적인 상황 중 하나는 멈추지 않는 출혈이다.
특히 간이나 비장 등 내부 장기에서 피가 계속 흐르면 지혈이 어려운데다 환자 생명이 위태로워질수 있다.
현재 널리 쓰이는 의료용 지혈제는 출혈 부위에 잘 달라붙지 않거나 체내에서 분해되지 않아 합병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연구팀은 홍합의 접착단백질에 돼지의 간 조직에서 추출한 '탈세포화된 세포외기질'을 결합해 생체 흡수성과 조직 접착성을 갖춘 지혈 스펀지를 고안했다.
이 스펀지는 출혈 부위에 닿으면 즉시 부풀어 혈액을 흡수하고 강한 접착력으로 조직에 붙어 지혈 효과를 높인다.
지혈이 끝난 뒤에는 체내에서 완전히 분해·흡수된다.
'탈세포화된 세포외기질'은 체내 고유의 지혈 기전을 활성화해 빠른 혈액 응고와 조직 재생을 돕는 역할을 한다.
실험에서 기존 지혈제보다 염증과 조직 손상이 적고 초기 상처 안정화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이번 연구는 기존 의료용 지혈제가 가진 ‘조직 접착력 부족’ 문제를 극복했을 뿐만 아니라 출혈 부위에 단단히 달라붙어 지혈과 초기 상처 회복을 동시에 돕고, 체내에서 안전하게 분해되는 지혈제를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차형준 교수는 “연구팀이 개발한 복합 지혈 스펀지는 지금까지 지혈이 어려웠던 내부 장기 출혈에도 신속하고 안전하게 출혈을 막을 수 있다”라며, “추가 수술로 인한 환자의 부담을 줄이고, 회복 과정을 빠르게 돕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최근 생체재료 분야 권위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헬스케어 머티리얼스'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