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위성락 "교류·관계정상화·비핵화, 서로 추동…선후관계 아냐"

입력 : 2025-09-24 12:17:29 수정 : 2025-09-24 13:00:47

인쇄 메일 url 공유 - +

"'END' 3요소, 우선순위 없는 포괄적 접근…북미 성명에서도 강조된 원칙"
"관계정상화는 남북 신뢰회복 의미…'두 국가론' 인정 않는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23일(현지시간) 이재명 대통령이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제시한 'END' 구상과 관련해 "교류(Exchange)·관계정상화(Normalization)·비핵화(Denuclearization) 세 요소는 서로 추동하는 구조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위 실장은 이날 미국 뉴욕에 마련된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세 요소 간 우선순위나 선후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다. 이 대통령은 이 원칙들을 중심으로 한 포괄적 접근법으로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한 호텔의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유엔 총회 기조연설, 정상회담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교류협력이나 관계정상화, 비핵화를 종합적으로 접근하되 한 요소에서만 성과를 내더라도 다른 요소의 진전에 성과를 견인할 수 있도록 조율해가며 관리를 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일례로 일각에서는 정부가 관계정상화에만 몰두할 경우 자칫 '두 국가론'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지만, 위 실장은 이 같은 관측에 선을 그었다.

 

위 실장은 "관계정상화는 곧 극도로 대립 중인 남북관계를 신뢰 관계로 바꾼다는 것이다. 교류협력을 통해 이 관계정상화를 이끌 수 있고, 또 이를 통해 비핵화 과정을 추동할 수 있다"면서 세 요소가 상호작용을 통해 종합적인 진전을 이뤄내도록 하겠다는 점을 거듭 역설했다.

 

아울러 '두 국가론'에 대해서도 "정부는 두 국가론을 지지하거나 인정하지 않는다. 남북 관계는 통일이 될 때까지의 '잠정적 특수관계'라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위 실장은 또 "이 원칙들은 과거 남북 간의 합의나 2018년 채택된 북미 싱가포르 성명 등에서도 강조된 바 있다"고 덧붙였다.

 

위 실장은 이번 구상을 토대로 남북 관계를 개선할 구체적 방안까지 마련이 돼 있느냐는 질문에는 "현재로서는 북한이 남쪽과의 대화에 아주 부정적이어서 단기적으로 변화가 올 것으로 기대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고 답했다.

 

북미대화 가능성에 대해서도 "제가 알고 있는 범위 안에서는 현재 북미 간에 이렇다 할 논의가 있는 것 같지 않다"고 전했다.

 

그러면서도 "북한의 반응을 보면 남쪽보다는 미국에 대해 덜 적대적인 인상을 주는 것이 사실인 만큼 (북미대화 진전을 위해)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위 실장은 이번 뉴욕 방문의 성과와 관련해 "이 대통령 취임 이후 숨 가쁘게 치러 온 정상외교가 안정적 궤도에 도달했다"며 "이 같은 모멘텀을 이어가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등에서 성공적인 정상외교가 진행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연합>


오피니언

포토

유진 '강렬한 눈빛'
  • 유진 '강렬한 눈빛'
  • 박보영 '뽀블리의 미소'
  • [포토] 고윤정 '반가운 손인사'
  • 임지연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