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파 “외국 아닌 팔레스타인 주민이 판단할 일”
약 2개월 앞으로 다가온 아일랜드 대통령 선거에서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에 대한 입장이 주요 쟁점으로 떠올라 눈길을 끈다. 현 집권 세력이 하마스를 ‘테러 집단’으로 규정해 규탄하는 반면 좌파 진영은 ‘하마스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는 팔레스타인 주민들의 몫’이란 태도를 견지하는 중이다.
22일(현지시간) BBC 방송에 따르면 미할 마틴 아일랜드 총리는 이날 대선 후보 캐서린 코널리가 하마스의 테러를 명백히 비난하길 꺼린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는 코널리가 하마스의 행위를 정당화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덧붙였다. 좌파 연합을 대표하는 대선 후보인 코널리는 노동당, 사회민주당, 좌파 성향 무소속 국회의원 등의 지지를 받고 있다.

마틴 총리가 거론한 테러는 가자 지구에 근거를 둔 하마스가 2023년 10월7일 이스라엘을 기습해 민간인 약 1200명을 살해하고 250명 이상을 인질로 붙잡아 가자 지구로 끌고 간 사건을 가리킨다. 그 직후 이스라엘이 하마스를 상대로 보복 공격에 나섰고, 가자 지구에선 벌써 2년 가까이 전쟁이 지속 중이다. 그 사이 어린이와 여성을 포함해 팔레스타인 주민 6만5000명 이상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날 라디오 방송에 출연한 코널리는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가 지난 21일 팔레스타인을 이스라엘과 대등한 독립 주권국으로 승인하며 하마스를 강하게 규탄한 점을 문제로 삼았다. 스타머 총리는 하마스를 “잔인한 테러 조직”으로 규정한 뒤 “앞으로 세워질 팔레스타인 정부에서 어떠한 역할도 맡아선 안 된다”고 일갈했다. 이에 코널리는 “나는 식민지 역사를 경험한 나라 아일랜드 출신”이라며 “앞으로 팔레스타인을 이끌 지도자는 주권자인 팔레스타인 국민이 민주적으로 결정해야지 외국이 이래라 저래라 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하마스는 팔레스타인 정부에서 배제돼야 한다는 스타머 총리의 주장을 일종의 ‘내정 간섭’으로 여겨 배격한 것이다.
코널리는 하마스도 “팔레스타인 주민들의 일부”라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2023년 10월7일 하마스가 저지른 행위는 분명한 잘못이지만, 그렇다고 그날 비로소 역사가 시작된 것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2023년 10월7일 이전에 이스라엘 정부가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부당하게 억압한 점 또한 함께 지적해야 공정하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그러자 마틴 총리가 속한 공화당 대선 후보 짐 개빈이 경쟁자인 코널리를 비판하고 나섰다. 공화당은 상대적으로 온건하고 중도를 지향하며 친영(親英) 성향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빈은 “코널리의 발언에 놀랐다”며 “이는 2년 전 하마스가 저지른 잔혹하고 끔찍한 범죄를 인정하지 않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하마스는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위하지 않는다”며 “팔레스타인 정부를 구성하는 것은 (하마스가 아닌) 팔레스타인 주민들에게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아일랜드는 의원내각제에 가까운 정부 형태를 갖고 있어 의회에서 뽑힌 총리가 국정 운영을 주도한다. 대통령은 국민 직선으로 선출되긴 하나 상징적 국가원수 역할에 그친다. 임기는 7년이고 한 차례 연임이 가능하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