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일정 관리, 재고자산 매각, 재무여건 개선 등 해법
“신뢰받는 GH 만들 것…공동체 회복 중심 주거정책”
잇단 비위에는 “직원들 자부심 느끼는 조직으로 혁신”
김용진 전 경기도 경제부지사가 경기주택도시공사(GH) 13대 사장으로 22일 취임했다. 기획재정부 제2차관과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한국동서발전 사장 등을 역임한 김 신임 사장은 3기 신도시 개발 등 공공사업 확대로 악화한 GH의 재무건전성을 개선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사장은 이날 취임사에서 GH가 직면한 위기를 △저출생·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와 주택 수요 감소 △자재비 및 자금 조달비용 증가 △공공서비스에 대한 국민 기대 상승 △재무여건 악화 등으로 규정했다.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재무건전성 개선을 거론했다. 그러면서 3기 신도시 등 개발사업 일정 관리, 재고자산 매각, 재무여건 개선을 위한 제도 마련 등을 해법으로 내놨다.
김 사장은 ‘토탈 주거복지 솔루션 프로바이더’도 언급했다. “주택 공급을 넘어 도민 삶의 질을 높이는 서비스와 공간복지 확대, 공동체 회복 중심의 주거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며 “위기를 넘어 도민에게 신뢰받는 지속 가능한 GH를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공익성을 앞세워 ESG가치의 내재화를 강조했다. 직원들이 자부심을 느끼는 조직으로 만들기 위해 안에서부터 GH를 혁신하겠다는 뜻이다. 이를 위해 유연한 조직 구조 설계와 열린 소통, 협업 문화 정착, 역량 중심 인재 채용·배치, 조직문화 혁신 등을 열거했다.
김 사장은 “‘변화의 중심, 기회의 경기’를 실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경제부총리 시절 기획재정부 제2차관으로 함께 호흡을 맞춘 경험을 지녔다. 2022년 지방선거 당시 선대위 비서실장, 도지사직인수위원회 부위원장으로 김 지사를 가까이에서 보좌했다. 올해 4월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때는 외곽조직을 꾸려 김 지사를 지원했다.

앞서 지난 12일 도의회 인사청문을 통과한 김 사장은 도의회가 청문 결과보고서를 김 지사에게 송부하면서 임명이 재가됐다.
김 사장은 앞으로 GH의 재무 건전성을 확보하는 것 외에 지연된 사업을 궤도에 올려놓는 등 다양한 정책 과제를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외부채용 간부들의 잇따른 비위가 적발되면서 조직 내부에 팽배한 불만을 어떻게 누그러뜨릴지도 숙제로 남았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