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을버스 업계가 요구안이 수용되지 않을 경우 내년 1월1일부터 환승제도에서 공식 탈퇴하겠다고 예고했다. 시는 유감의 뜻을 나타냈다.

서울시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은 22일 오전 영등포구 조합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대중교통 환승통합 합의서 협약 해지’ 공문을 서울시에 발송한다고 밝혔다.
김용승 조합 이사장은 “현재 마을버스 요금은 1200원이나 승객 대부분이 시내버스나 지하철로 환승하기에 마을버스 업체는 승객 1인당 600원만 정산받고 나머지 600원은 손실로 잡힌다”며 “지난 20년 동안 환승손실금은 매년 평균 1000억원이 발생했고, 서울시로부터 보전받지 못한 금핵은 1조원이 넘는다”고 주장했다.
조합에 따르면 2004년 서울시,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 서울시마을버스운송조합이 체결한 대중교통 환승 합의서는 그해 12월31일까지 유효기간을 두고 참여기관의 별다른 의사표시가 없을 경우 1년간 연장한다고 돼 있다.
마을버스조합은 올해 말까지 자동 연장돼 온 이 협약을 이번에는 탈퇴하겠다는 입장이다. 내년 1월 1일부터 마을버스가 대중교통 환승제도에서 탈퇴하면 마을버스 승객은 더는 지하철, 시내버스와의 환승 할인을 받을 수 없다. 조합은 서울시에 △대중교통 환승 합의서상 운임정산 규정 변경 및 정산 △환승손실액에 대한 보전과 방법에 관한 규정 신설 △물가와 임금인상률을 반영한 운송원가 현실화를 요구했다.
김 이사장은 “상생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달라는 마지막 호소에 귀 기울여 달라”며 “시민들께는 심려를 끼친 데 사과드리고, 환승제도 탈퇴 이후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일방적인 탈퇴 요구라며 우려와 함께 유감의 뜻을 나타냈다. 시는 5년간 마을버스 재정지원 규모는 2019년 192억원에서 2025년 412억원으로 2배 이상 확대했으며, 대시민 교통 서비스 개선과 연계된 합리적 지원체계 개편을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입장문을 통해 “환승제 탈퇴는 시민의 교통편익을 볼모로 한 압박에 불과하며, 문제 해결의 방식이 될 수 없다”며 “조합 측이 소통 없이 일방적인 탈퇴 주장을 제기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