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이슬람 무장정파 하마스 간 즉각적인 휴전을 요구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안 채택이 미국의 거부권 행사로 또다시 불발됐다.
안보리는 18일(현지시간) 9월 의장국인 한국을 대표한 김상진 유엔대표부 차석대사 주재로 회의를 열어 선출직 비상임 이사국 10개국이 제안한 가자지구 휴전 결의안을 표결에 부쳤으나 끝내 부결됐다. 15개 안보리 이사국 중 14개국이 찬성했으나 상임이사국인 미국이 거부권을 행사했다. 결의안이 통과하려면 안보리 15개 이사국 중 9개국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하고 미국, 중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등 5개 상임이사국 중 어느 한 곳도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아야 한다.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북부 최대도시인 가자시티에 대한 지상전을 개시한 가운데 나온 이번 결의안은 전쟁의 즉각적이고 영구적인 휴전과 인질 석방, 구호품전달에 대한 제한 해제 등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았다.
가자지구 전쟁 발발 이후 미국은 관련 결의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거부권을 행사해왔다. 이번이 무려 여섯 번째 거부권이다. 미국 대표로 나선 모건 오르테이거스 미 중동평화담당 특사 대리는 이날 표결 전 발언에서 결의안에 대해 “하마스를 규탄하거나 이스라엘의 자위권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며 “또한 하마스에 이익이 되는 안보리 내 잘못된 서사를 정당화할 것”이라고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미국을 제외한 유엔 회원국들 사이에서는 이미 이스라엘에 대한 비판 여론이 급격히 확산되는 양상이다. 회원국 정상들이 참석하는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가 23일 개막하는 가운데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을 비롯한 영국, 호주, 캐나다 등 일부 서방국 정상은 이번 유엔총회 주간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하겠다고 천명했다. 독립 조사권한을 가진 유엔 조사위원회(COI)도 지난 16일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제노사이드(대량학살)를 자행했다고 규정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