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화면 못 봐도 PPT 만들 수 있어요”…AI 만난 시각장애 교사들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9-18 16:18:42 수정 : 2025-09-18 16:18:40
차승윤 기자 chasy99@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진짜 딱 교사들한테 필요한 걸 모아놨네요!”

 

17일 서울 광진구 건국대학교 서울에듀테크소프트랩에서는 서울시교육청의 교사 대상 에듀테크(교육+기술) 연수가 한창이었다. 프로그램을 알려주는 역할을 맡은 ‘선도교사’ 안용원 교사는 6명의 교사에게 ‘패들렛TA’란 인공지능(AI) 프로그램을 다루는 법을 설명했다. 여느 연수와 조금 다른 점은 설명을 듣는 교사들의 ‘시선’이었다. 시각장애인인 이들은 안 교사나 자신의 앞에 있는 노트북 화면을 보지 않고, 대신 ‘소리’에 집중하는 모습이었다. 

 

인공지능(AI)∙에듀테크 프로그램 장애인 교원지원단에 참가한 시각장애 교원들이 17일 서울 광진구 건국대학교 서울에듀테크소프트랩에서 프로그램 사용을 익히고 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한 시각장애 교원 6명은 10일부터 다음달 15일까지 총 6차례 연수를 받고 향후 다른 시각장애 교원 대상 연수를 진행하는 역할을 맡을 예정이다. 차승윤기자

한 교사가 안 교사의 설명에 귀를 기울이며 노트북에 ‘분사 구문의 기본 형태와 쓰임 연습하기’라고 입력하자 해당 내용을 반영한 예시 문제들이 화면에 주르륵 떴다. 화면을 읽어주는 스크린리더의 도움을 받아 문제를 확인한 교사들은 “그동안 정말 필요했던 기능”이라며 웃었다. 

 

이날 연수는 서울시교육청이 전국 최초로 출범한 ‘AI∙에듀테크 장애인 교원지원단’의 세번째 교육 시간이었다. 서울시교육청은 에듀테크 사용 장벽이 높은 시각장애 교원 중 6명을 선발해 다음 달 15일까지 총 6차례 연수를 진행한다. 연수 참여자들은 향후 다른 시각장애 교원들에게 연수를 진행하는 역할도 맡는다.

 

참여 교사들은 연수가 수업에 큰 도움이 될 것이란 기대감을 드러냈다. 최근 학교에서 에듀테크 활용이 늘고 있지만, 시각장애 교사에겐 ‘그림의 떡’이었다. 편도환 신상중 교사는 “에듀테크 연수는 시각 정보 기반으로 진행돼 장애 교사들은 소외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반가운 기회”라고 말했다.

 

이날 특히 많은 관심을 받은 것은 파워포인트(PPT) 자료 제작이었다. 이미지를 포함한 PPT 자료가 자동으로 만들어지자 교사들의 입에선 감탄사가 나왔다. 그동안 수업 자료를 만드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는 박준범 오남중 교사는 “비장애 교사들은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해 학생 참여형 수업을 많이 하지만 시각장애 교사는 한계가 있어 아쉬웠다”며 “이런 프로그램을 활용하면 수업 몰입도를 높일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특수교사들도 기대감이 컸다. 최용수 상계고등학교 특수교사는 “특수교육에서는 반복 지도가 많이 필요하고, 고등학교라 생활 지도도 필요하다. AI∙에듀테크를 활용하면 질서∙교육을 가르칠 때 아이들이 더 잘 이해할 것 같다”고 예상했다. 김필우 정인학교 교사는 “발달장애, 자폐가 있는 학생들을 가르칠 때도 디지털 세대라 다르더라. 시각의 직관성을 잘 활용한다. 글자를 몰라도 그림으로 원하는 것을 검색해낸다. 시각장애 교원도 에듀테크로 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다면 학생과 상호작용하기도 편해진다. AI∙에듀테크가 보완대체의사소통(AAC) 기능도 하는 것 같다. 특수교육에서도 기술의 장점이 크다”고 설명했다.

 

서울시교육청은 더 많은 시각장애 교사가 활용할 수 있도록 연수 결과를 바탕으로 AI·에듀테크 활용 매뉴얼을 점자·오디오북 형태로 제작해 보급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연수를 꾸준히 요청해 온 ‘함께하는 장애인 교원 노동조합’ 서울지부는 논평을 통해 “AI·에듀테크 툴 접근성 보장은 시혜적 편의가 아니라 교육 참여 문턱을 낮추는 필수 조건임에도 그간 그 어떤 교육 관련 기관에서도 정식으로 논의조차 되지 않았다”며 “이번 서울시교육청 사례는 그 의미가 남다르다. 서울시교육청이 쓴 새로운 역사가 향후 장애인교원들의 수업 및 업무 역량을 높이고, 더 나아가 모든 교육 공동체 구성원들의 접근성 보장에 대한 이해도와 참여도를 높이는 발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오피니언

포토

박보영 '뽀블리의 미소'
  • 박보영 '뽀블리의 미소'
  • [포토] 고윤정 '반가운 손인사'
  • 임지연 '매력적인 미소'
  • 손예진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