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기관서 진상조사 전망
인천 영흥도 갯벌에서 고립된 노인을 구조하다 숨진 해양경찰관 이재석(34) 경사 ‘영웅 만들기 작업’ 당사자로 지목된 해경 간부 3명이 대기발령됐다. 이재명 대통령의 “(진상조사를) 독립적 기관에 맡기라”는 지시에 따라 해양경찰청이 자체적으로 꾸린 조사단은 운영하지 않기로 했다.

해경청은 16일 인천해양경찰서 이광진 서장(총경)과 영흥파출소 소장(경감), 당시 당직팀장(경위)을 대기발령 조치했다고 밝혔다. 인천해경서는 지난 11일 이 경사가 밀물에 갇힌 70대 남성을 구조하는 과정에서 당국의 대응이 미흡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특히 이들 3명은 전날 이 경사 사고 때 당직을 섰던 동료들이 ‘해경 내부의 은폐 시도가 있었다’는 폭로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거론된 인물이다. 동료들은 이 경사 장례식장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그동안 영흥파출소장으로부터 이 경사를 ‘영웅’으로 만들어야 하니 사건에 대해 함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광진 서장으로부터 직접 함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도 했다.
해당 팀장은 이 경사가 혼자 이동하는 상황을 알면서도 다른 숙직자를 깨워 출동시키지 않았고, 상급기관 상황실 보고는 80분이나 지체했다. 해경청 관계자는 “간부 3명은 향후 진실을 규명하는 데 조사자로 소환될 예정이기 때문에 당장 정상적인 업무 수행이 곤란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 경사의 사고 원인 전반을 들여다보려고 중부지방해양경찰청이 지난 13일 외부 전문가 6명으로 구성한 진상조사단 활동도 중단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전날 브리핑에서 “이 대통령은 고인 동료들로부터 ‘윗선이 진실을 은폐하고 있다’는 증언이 나왔다는 점을 짚었고, 해경이 아닌 외부의 독립적인 기관에 맡겨 엄정히 조사하라고 지시했다”고 발표한 데 따른 것이다.
앞서 김용진 해경청장이 이번 사태의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하면서 주요 지휘부가 모두 공석인 상태가 됐다. 서열 2위 차장은 반년 넘게 빈자리로 남았고, 3위인 전 기획조정관은 ‘12·3 비상계엄 가담’ 의혹으로 직위해제됐다. 이런 불가피한 조직 사정으로 김 청장은 후임자 인선이 마무리될 때까지 직무를 이어갈 전망이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