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의 집에만 머무는 ‘은둔 청년’ 10명 중 1명은 스스로 생을 포기하는 생각을 해본 것으로 조사됐다. 은둔하지 않는 청년에 비해 무려 4배 이상 높은 수치다.
16일 발간된 보건복지포럼 9월호에 실린 김성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의 ‘청년 은둔 양상의 변화와 정책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은둔 청년의 자살 생각 경험 비율은 2022년 8.2%에서 지난해 10.4%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비은둔 청년의 비율은 2.3%에서 2.5%로 큰 차이를 보였다.
이 조사는 국무조정실이 만 19세부터 34세까지 청년을 둔 1만5000 가구를 대상으로 진행한 ‘청년 삶 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토대로 분석됐다. 외출 빈도를 묻는 항목에서 △집에만 머물며 취미나 간단한 용무로만 외출 △집 안에서는 움직이지만 밖에는 나가지 않음 △방 밖으로도 잘 나오지 않음 등을 선택한 경우를 은둔 청년으로 분류했다. 임신, 출산, 장애 등 불가피한 사유는 제외됐다.
이 기준에 따르면 은둔 청년 비율은 2022년 2.4%에서 지난해 5.2%로 두 배 이상 늘었다. 연령대별로는 20대 후반(25∼29세)이 38.2%로 가장 많았고, 이어 20대 초반(33.2%), 30대(28.6%) 순이었다.
가구 특성을 보면 4인 이상 가구 비율이 38.7%로 가장 높았다. 은둔 이유로는 취업 어려움(41.1%)이 가장 많았으며, 인간관계 어려움(13.9%), 학업 중단(12.2%), 대학 진학 실패(3.0%) 등이 뒤를 이었다.
은둔 기간은 6개월 미만이 35.4%로 가장 많았고, 1년 이상 3년 미만 25.8%, 6개월 이상 1년 미만 19.4%였다. 7년 이상 장기화한 경우도 6%에 달했다.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5.65점으로, 비은둔 청년(6.76점)보다 낮았다. 미래에 대해 부정적으로 보는 비율도 19.7%로, 비은둔 청년(7.0%)보다 높았다.
다만 은둔 청년 가운데 미취업 상태에서도 구직 활동을 한 비율은 24%로, 비은둔 청년(12.8%)보다 오히려 높았다. 김 연구위원은 “은둔 청년이 또래들처럼 일하고자 하는 의지를 완전히 포기한 것은 아니다”라며 “단순히 은둔이 절대적으로 늘었다고 단정하기보다는, 그간 숨겨져 있던 청년들이 목소리를 내고 회복을 위한 도움을 요청하는 움직임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고립과 은둔은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위기 상태라는 인식을 확산하고, 보건복지부의 청년미래센터 같은 지원 창구가 언제든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