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미·중, 틱톡 처분방안 큰 틀 합의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9-16 06:00:00 수정 : 2025-09-15 23:33:07
박성준 선임기자 alex@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미국과 중국이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처분 방안에 대해 큰 틀에서 합의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서 무역 협상이 "매우 잘 됐다"면서 "우리나라의 젊은이들이 정말로 구해내고 싶어 했던 '특정' 기업에 대해서도 합의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사진=AP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특정 기업은 틱톡이다.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이날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협상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양측이 틱톡과 관련해 프레임워크에 합의했다고 확인하고서는 "프레임워크는 틱톡을 미국이 통제하는 소유(구조)로 바꾸는 것"이라고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하지만 난 금요일(19일) 예정된 정상(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통화를 앞서가지 않겠다. 우리는 프레임워크가 있지만 정상들이 합의를 확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틱톡은 미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지만, 모회사가 중국 바이트댄스라는 점에서 중국 정부의 개인정보 탈취나 해킹에 이용돼 미국 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왔다.

 

급기야 지난해 4월 미국에서는 바이트댄스가 미국 내 사업권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지 않으면 미국 내 틱톡 서비스를 금지하는 이른바 '틱톡 금지법'이 제정됐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젊은 지지자들이 틱톡을 애용하는 점을 고려해 취임 후 틱톡 금지법 시행을 유예하고 중국 측과 협상을 진행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의 미국 사업을 새로운 미국 법인으로 분사한 뒤 미국 투자자들이 그 법인의 지분 절반 이상을 보유하고, 바이트댄스는 소수 지분만 보유하는 틱톡 인수안을 중국 정부에 제안하기도 했다. 그러나 미국의 관세에 반발한 중국 정부의 반대로 무산됐다고 보도된 적이 있다.

 

틱톡 금지법 유예 시한은 오는 17일인데 양국의 프레임워크 합의를 확정하기 위해 유예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고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USTR)가 이날 기자들에게 설명했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신예은 '매력적인 손하트'
  • 김다미 '깜찍한 볼하트'
  •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