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안산 단원고등학교 학생들의 생전 일상 등을 담은 ‘단원고 4·16 아카이브’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지역목록 등재 신청 소식에 “내년 최종 등재심사에서 좋은 소식이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15일 밝혔다.
김 지사는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단원고 4·16 아카이브’와 ‘수운잡방과 음식디미방’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지역목록 등재 신청서 제출 기사 공유 후 이처럼 말했다. 이어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향한 첫 관문을 넘었다”고 덧붙였다.
앞서 국가유산청은 차기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지역목록 등재 신청 대상으로 두 사안을 선정했다고 같은 날 밝혔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12일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지역위원회에 신청서를 제출했으며, 등재 여부는 내년 6월 인도네시아에서 열리는 지역위원회 총회에서 결정된다.
‘단원고 4·16 아카이브’는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단원고 학생들의 생전 일상 모습을 담은 자료와 국민들의 추모 활동 등을 아우르는 기록물이다. 유가족과 생존자들이 아픔에서 회복하기 위한 노력 등도 담았다. 수학여행을 앞둔 학생들의 마음을 엿볼 수 있는 달력, 참사 이후 세월호를 인양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수학여행 일정표 등이 포함된다.

국가유산청이 함께 등재를 신청한 ‘수운잡방과 음식디미방’은 우리 전통 조리 지식을 정리한 자료다.
수운잡방은 경북 안동의 유학자 김유(1491~1555)와 그의 손자 김령(1577~1641)이 저술한 한문 필사본 형태의 음식 조리서로 2021년 보물로 지정됐다. 전통 조리법과 저장법의 기원과 역사, 조선 초·중기 관련 용어 등이 상세히 남아있다. 민간에서 쓰인 최초의 조리서로 연구 가치가 크다는 평가를 받는다.
음식디미방은 1670년경 집필된 것으로 추정되는 음식 조리서다. 석계 이시명(1590~1674)의 부인인 안동 장씨가 각종 요리 조리법과 술 만드는 방법, 저장법, 발효법 등을 정리했다고 알려져 있다. 현전하는 자료 가운데 양반가 여성이 쓴 가장 오래되고 온전한 형태의 한글 조리서로, 여성이 지식의 전승에 기여했음을 보여주는 기록물로 의미가 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지역목록은 이 지역 단위에서 시행되는 기록유산 프로그램이다. 우리나라는 ‘한국의 편액’, ‘만인의 청원 만인소’, ‘조선왕조 궁중현판’, ‘삼국유사’, ‘내방가사’, ‘태안 유류 피해 극복 기록물’ 등 6건을 보유 중이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