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총회 앞두고 외교전 시동
미국이 국제원자력기구(IAEA) 회의에서 ‘북한 비핵화’ 목표를 언급하자 북한이 “도발적 행태”라며 자신들의 “핵보유국 지위는 불가역적”이라고 반발했다. 다음 주 개최되는 유엔총회를 앞두고 북한이 핵무기 보유 정당화를 위한 외교전에 시동을 걸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15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오스트리아 빈 주재 북한대표부는 공보문을 통해 “미국은 시대착오적인 ‘비핵화’ 주장을 되풀이함으로써 우리의 헌법 포기, 제도 포기가 저들의 대조선정책의 종착점이라는 것을 명백히 드러냈다”고 밝혔다. 북한은 오히려 미국의 확장억제력 제공, 핵 공유 실현 등을 “핵 전파 행위”로 규정하며 즉각 중단을 요구했다.
임을출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미국의 동맹 정책을 ‘핵 전파’로 규정함으로써 미국을 비확산 체제의 위반자로 몰아 국제사회로부터 지지를 유도하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최근 북한의 움직임을 두고 국제무대에서 핵 보유 정당화를 위한 공세적 외교전을 시작한 것이란 평가도 나온다. 특히 23일부터 미국 뉴욕에서 개최되는 유엔총회의 연설자로 외무성 부상(차관)급 인사를 7년 만에 파견하는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석좌교수는 빈 주재 북한대표부의 공보문 발표를 “외무성 부상급의 유엔총회 연설을 앞둔 여론 잡기 예고편”이라고 분석했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석좌연구위원은 “북한은 유엔총회 연설에서도 핵 보유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비핵화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강하게 이야기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