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청주시 오송 지하차도 참사 국정조사 현장조사와 충북도청 현장질의를 놓고 공방이 오갔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15일 오송 참사 국정조사 현장조사에 이어 충북도청 현장질의, 유가족 간담회 등을 이어갔다. 유가족협의회 등은 현장질의가 있는 도의회 앞 광장에서 의원들에게 녹색 리본을 전달하며 오송 참사 진실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

충북도의회 다목적 회의실에서 진행한 현장질의에서 김영환 충북도지사와 의원 간의 설전을 벌였다. 김 지사는 “어떠한 말로도 유가족을 위로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며 “도의적 책임을 지겠다”고 말했다. 또 “보고를 제대로 받지 못했다. 참사 이후 CC(폐쇄회로)TV를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유가족들의 상처를 마무리해야 한다”며 “유가족들을 위로할 수 있다면 도청에 추모비를 건립하겠다. 절대로 안전을 중시하겠다는 뜻에서 도청에 추모비 설치를 결정한 것”이라고 했다.
의원들은 부실 대응 체계를 꼬집었다. 더불어민주당 이광희 의원(청주시 서원구)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희생자 가족들과 생존자협의회의 증언에 장내가 숙연해졌다”며 “진상에 대한 더 구체적인 규명과 책임자 재수사 요구를 남은 청문회에서 강력하게 밀어붙이겠다”고 전했다. 더불어민주당 충북도당은 논평에서 ““책임 없다는 도지사의 말은 유가족의 가슴에 대못을 박은 것입니다. 충북도의 재난 컨트롤타워만 제대로 작동했다면 가족이 하늘로 떠나지 않았을 것입니다” 라는 (유가족의) 호소가 오송 참사의 본질이다”라고 했다.
오송참사 국정조사는 오는 23일 청문회에 이어 25일 결과보고서를 채택한다. 오송 참사는 2023년 7월15일 흥덕구 오송읍 인근 미호강 범람으로 궁평2지하차도가 침수되면서 발생했다. 이 사고로 14명이 숨졌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