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제품서 반복되는 원산지 혼란…명확한 정보 공개 요구돼”
3조원 규모로 성장한 국내 생수 시장이 다시 한 번 ‘수원지 논란’에 휩싸였다.

1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A생수가 중국 길림성에서 생산된 수입 생수임에도 불구하고 브랜드 네이밍과 표기 방식 탓에 소비자들 사이에서 국산 제품으로 오인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실제 각종 소비자 리뷰에는 “국내산인 줄 알고 샀다”, “뒤늦게 중국산인 걸 알고 놀랐다”는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법적 표기 기준은 지켰지만… 소비자 눈높이에선 ‘불투명’
현행 ‘먹는샘물법’에 따르면 생수 용기에는 △품목명 △제품명 △수원지 △업소명 △유통기한 △내용량 △영업허가번호 등을 의무적으로 기재해야 한다.
특히 수입 생수는 ‘수원지가 위치한 국가명’을 반드시 병행 표기하도록 규정돼 있다.
A생수의 경우 전면 라벨에는 ‘수원지 백두산(중국)’이라고 표기돼 있으나, 세부 주소는 뒷면 하단에 작게 기재돼 있어 소비자가 쉽게 확인하기 어렵다.
전문가들은 “표기 의무를 형식적으로만 이행할 경우, 소비자 인식과 괴리가 생길 수 있다”며 “결국 투명성 논란으로 브랜드 신뢰도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지적한다.
◆반복되는 ‘원산지 혼란’… 생수만의 문제가 아니다
원산지 표기 혼란은 생수 시장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국내 대기업의 콩기름 제품은 ‘국내에서 만든 100% 콩기름’을 강조했지만, 실제 원재료는 미국·브라질산 콩이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가공식품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반복된다. ‘100% 우리햅쌀’ 고추장은 쌀만 국내산이고, 고추양념은 중국산이었다.
또 한 만두 제품은 “국산 돼지고기·엄선된 채소”를 강조했지만, 밀가루와 당면 등 주재료는 수입산이었다.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더라도, 일부 원재료만 부각해 전체가 국산인 것처럼 오인하게 만드는 마케팅은 ‘편법적’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신뢰는 단기 마케팅보다 무겁다”
생수는 단순 음료가 아닌 생활 필수품이다.
소비자는 매일 마시는 물의 출처와 안전성을 투명하게 확인할 권리가 있다.
전문가들은 “식품 산업 전반에서 반복되는 원산지 논란은 결국 소비자 신뢰의 붕괴로 이어진다”며 “기업들이 단기적 판매 전략보다 장기적 신뢰 구축을 우선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정부 역시 원산지 표기 제도의 실효성을 점검하고, 소비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개선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원산지 투명성이 생수뿐 아니라 식품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가르는 핵심 지표가 되고 있다는 의미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