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세제개편안 발표로 촉발된 ‘검은 금요일’ 이후 박스권을 형성하며 위축됐던 국내 증시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며 코스피5000에 대한 기대를 키우고 있다. 올해 들어서만 주요 그룹사 시가총액이 연초 대비 약 600조원 늘었고, 특히 한화와 HD현대는 ‘시총 100조원 클럽’에 새로 합류했다.
14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1월2일 1500조2219억원이었던 30대 그룹 상장사 219곳의 시가총액은 지난 10일 2099조8306억원으로 40.0%(599조6087억원)나 늘었다. 영풍을 제외한 29개 그룹 모두 시총이 증가했다.

특히 한화와 HD현대는 시총 100조원을 넘어서면서 삼성·SK·현대차·LG 4대 그룹의 전유물이었던 ‘100조 클럽’에 새롭게 이름을 올렸다.
한화는 44조8068억원에서 118조1583억원으로 시총이 163.7%나 급증해 증가율 1위를 기록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오션이 219개 상장사 중 시총 증가액이 각각 3위와 5위를 기록할 정도로 성장을 이끌었다.
증가율 2위는 미래에셋이었다. 같은 기간 시총이 5조8826억원에서 14조7285억원으로 150.4% 뛰었다. 상법 개정 영향으로 증시 활성화 기대감이 커지며 증권주가 급등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력 인프라 투자 기대와 고수익 전력기기 수요에 힘입은 효성(140.9%)과 새 정부 에너지 정책의 수혜 기업으로 지목된 두산(138.8%)도 시총이 크게 늘었고, HD현대의 시총은 79조2896억원에서 131조8215억원으로 66.3% 늘었다.
9월 일평균 국내 주식대금은 전월 대비 5.0% 증가한 23조7997억원으로 나타났다. 박스권에 갇히며 20조원대를 유지했던 코스피는 4년2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10일 29조590억원의 주식대금 규모를 기록한 데 이어 11일(31조453억원)과 12일(31조9753억원)엔 30조원을 넘어섰다. 일평균 거래대금이 30조원 선을 돌파한 건 정부가 세제개편안을 발표한 7월31일 이후 처음이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