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권력이 정치 권력을 휘두르고 있다”며 소신 발언을 한 더불어민주당 곽상언 의원이 연달아 ‘김어준의 뉴스공장’ 등 일부 정치유튜브 진행자들의 ‘유튜브 권력’ 현상에 대해 비판적 메시지를 내고 있다. 곽 의원은 당내 일부 의원의 반발을 받아지며 메시지를 던졌고, 진보. 보수진영 할 것없이 정치유튜브 진행자들의 정치 개입 현상이 짙어지고 있다며 ‘정치에 개입하고 싶다면 제도권 정치로 들어와야 한다’고 비판했다.

곽 의원은 11일 YTN라디오 ‘김준우의 뉴스정면승부’에 출연한 자리에서 자신의 발언과 관련해 “제가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자신이 구독자가 많다는 이유로 현실정치에서 후보자를 선택하거나, 후보자 선거운동에 개입하거나, 그 어떤 의원들의 의정활동에 개입하는 것은 정치적 문제라고 보는 것”이라며 “만약에 그렇게 하고 싶으면 그분들은 제도권 정치로 들어오셔야 한다”고 말했다. 곽 의원은 그러면서 “들어오지 않고 링 바깥에서 링 위에 있는 선수를 조정하는 것은 정치 제도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 아니라, 해악을 끼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여야를 가리지 않고 진보와 보수를 가리지 않고 지금 벌어지는 일”이라고 한 그는 “이 문제를 꼭 해결하겠다는 생각”이라고도 했다.
앞서 곽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 글을 통해 ‘김어준의 뉴스공장’ 등 정치 유튜브에 자신은 출연한 적이 없다면서 “과거에는 언론사들이 정치 권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넘어 공천에 관여하고 후보 결정에 개입했었다. 지금도 크게 다르지 않다”고 비판했다.

곽 의원은 자신의 글에 대해 같은 당 최민희 의원이 “말 바로 하라 누가 머리를 조아리나”고 말했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서는 “저는 그 국회의원에 대해 말씀드린 적이 없다. 유튜브라는 매체를 이용해서 정치권력을 행사하고 있다라는 건데 왜 국회의원이 반응하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아마 그분들은 자신이 유튜브 권력이라고 생각하거나, 유튜브 권력에 편승해서 자신의 정치적 지위, 정치적 권한을 얻고 계시는 분이거나 유튜브 권력을 종교에 대한 신앙을 갖는 것처럼 존중하고 신앙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제가 국회에 가면 어떤 의원들은 저한테 ‘고맙습니다. 곽 의원님’ 이런 분도 계셨다”고 전하기도 했다. 그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도 “어떤 정치인은 이익과 지위를 탐하며 유튜브 권력에 적극 편승하고 있지만, 많은 정치인은 어쩔 수 없이 체념하며 동참하거나 방관하고 있다”며 “어느 국회의원이 저에 대해 전혀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다는 보도를 보았다. 저는 그 분이 그 동안 얻은 정치적 이익을 지킬 필요가 있고 그래서 유튜브 권력에 충성하고 있다고 생각할 뿐이다”고 적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위인 곽 의원은 ‘‘아내와 가족은 곽 의원을 걱정하지 않느냐’는 질문이 나온다며 “전혀다. 걱정하지 않는다”며 “제 의견에 적극 동의하고 저를 응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