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김정은 “비상한 지위 되돌릴 수 없어”… 北정권 수립일, 핵보유국 위상 과시

입력 : 2025-09-10 18:48:30 수정 : 2025-09-10 21:18:10
김병관 기자 gwan2@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金, 창건 77돌 국기게양식 참석
‘비핵화 협상 불가’ 대미 메시지
연설서 러시아 파병군인 격려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정권수립 77주년 기념일(9·9절)을 맞아 “국가가 획득한 비상한 지위”를 언급하며 “그 어떤 힘으로도 되돌릴 수 없다”고 강조했다. 북·중·러 밀착과 고도화한 핵 무력을 바탕으로 핵보유국 지위를 확보하겠다는 뜻으로, 비핵화 협상에는 응하지 않겠다는 대미 메시지로도 해석된다.

10일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전날 만수대의사당(우리의 국회의사당 격)에서 열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77돌 기념 국기게양식 및 중앙선서모임에서 이같이 연설했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새 조선의 창건이 선포된 그날로부터 시작된 77년간의 강국건설위업은 지금 우리 국가가 획득한 비상한 지위로서 긍지 높이 총화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이제는 그 누구도 그 무엇으로써도 우리 국가의 절대적 지위와 안전을 다칠 수 없으며 우리 손으로 만들어낸 융성시대의 거세찬 흐름은 그 어떤 힘으로도 되돌릴 수 없다”고 밝혔다.

선서하는 김정은 9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정권 수립 77주년 기념일(9·9절)을 맞아 국기게양식 및 중앙선서모임에 참석해 선서를 하고 있다. 평양=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핵 무력과 관련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었지만, 김 위원장이 말한 ‘비상한 지위’, ‘절대적 지위’는 핵보유국을 암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불가역적인 핵보유국 위상에 도달했음을 대내외에 과시하고자 하는 발언으로 볼 수 있다.

김 위원장은 지난 3일 중·러 정상과 톈안먼 망루에 나란히 올라 중국 전승절 열병식을 관람한 이후 핵보유국 지위를 부각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4일 베이징에서 개최된 북·중 정상회담에선 종전과 달리 비핵화 언급이 없었고, 김 위원장은 귀국 3일 만인 8일 탄소섬유 고체연료 엔진 지상 분출시험을 참관했다. 북한 발표대로라면 이 엔진이 탑재될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20형은 미국 본토 전역을 사정권에 둘 것으로 보인다.

핵보유국인 중·러를 뒷배 삼아 미국을 향해 ‘북한 비핵화’ 목표를 포기하라고 압박하는 차원으로 해석된다. 비핵화를 하기엔 자신들 핵 무력이 고도화했을뿐더러 중·러의 지지도 받고 있다는 뜻이다. 북한은 비핵화는 “실천적으로나 개념적으로 불가능”(김여정 부부장 지난 4월 담화)하다면서 이를 목표로 삼은 2018∼2019년 북·미 정상회담은 “실패한 과거”(김 부부장 지난 7월 담화)라고 밝혀왔다.

김 위원장은 이번 연설에서 국경절을 맞아 “해외 군사작전에 투입된 우리 군대의 장령, 군관, 병사들에게도 뜨거운 전투적 경례를 보낸다”고 언급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군인들을 지목하면서 특별히 격려한 셈이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신예은 '매력적인 손하트'
  • 김다미 '깜찍한 볼하트'
  •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