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이 최근 경기 시흥 아파트 신축 현장에서 발생한 사망 사고와 관련해 전국 모든 현장의 공사를 전면 중단하는 강수를 뒀다.

잇따른 중대재해로 건설업계의 안전 관리 시스템과 경영진의 책임 의식이 다시 도마에 오르고 있다.
◆전국 110여개 현장 ‘올스톱’
10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우건설은 전국 110여 개 현장에 대해 작업을 전면 중단하고 안전 점검에 나섰다.
지난 9일 오후 3시30분쯤 경기 시흥시 거북섬 ‘푸르지오 디오션’ 아파트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사망 사고 때문이다.
당시 하청업체 소속 50대 근로자 A씨는 26층 옥상에서 대형 크레인이 옮기던 철제 계단에 충격을 받아 숨졌다.
대우건설 측은 “모든 현장을 대상으로 안전 위험 요소를 점검한 뒤, 위험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 고위 임원이 최종적으로 작업 재개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후 약방문’식 대응이라는 지적도 피하기 어렵다.
◆업계 전반으로 번진 ‘안전 리스크’
대우건설만의 문제는 아니다. 지난달 DL건설은 현장 사망 사고 직후 대표이사와 임원진 전원이 사표를 제출했다.
포스코이앤씨도 지난 7~8월 연이어 인명 사고가 발생한 끝에 정희민 대표이사가 물러났다.
건설업계의 구조적 안전 불감증이 경영진의 거취 문제로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노동계에서는 “사망 사고 이후에야 ‘사과’와 ‘대책’이 반복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며 “실질적인 현장 개선과 안전 투자 확대 없이는 같은 일이 재발할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안전 리더십” 시험대에 선 건설사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경영진의 법적 책임이 강화됐음에도, 현장에서는 여전히 안전 관리의 사각지대가 존재한다.
전문가들은 형식적인 안전 점검이 아닌 경영진 차원의 ‘안전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안전 투자를 비용이 아닌 경영의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며 “사망 사고 이후의 보여주기식 대책으로는 근본적인 변화를 만들 수 없다”고 말했다.
반복되는 건설 현장 참사는 단순한 ‘불운의 사고’가 아닌 구조적 문제의 결과라는 점에서 업계 전체가 뼈아픈 성찰과 혁신을 요구받고 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