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금천에서 피해 금액 2000만원 이상
수도권 특정 지역의 KT 이용자들이 휴대전화 소액 결제 피해를 입은 가운데 이들의 휴대전화 개통 경로가 모두 달라 사건의 경위에 대한 의문이 좀처럼 풀리지 않고 있다.

6일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기존 경기도 광명시 사건과 최근 서울 금천구에서 발생한 유사 사건을 병합해 수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찰이 파악한 광명 사건 피해자 수는 지난 2일 기준으로 26명이다. 금천 사건에서는 지난 5일까지 총 14건의 신고가 접수됐다.
앞서 광명 사건 피해자들은 지난달 27일부터 31일 사이, 주로 새벽 시간대에 휴대전화에서 모바일 상품권 구매나 교통카드 충전 등 명목으로 수십만원이 빠져나갔다며 경찰에 신고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모두 광명시 소하동에 거주 중이며 일부는 같은 아파트에 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사건의 피해 금액은 모바일 상품권 80만 4000원 충전 등을 포함해 62차례에 걸쳐 1769만원에 달했다.
경찰은 초기 광명 사건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피해자들이 해당 휴대전화를 개통한 대리점을 확인했다.
이용자들의 통신사가 모두 KT이고 근거리에 거주 중인 만큼 특정 대리점에서 범행이 이뤄졌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조사에 나선 것이다.
그러나 조사 결과, 피해자들이 개통한 휴대전화 대리점은 저마다 달랐으며 일부 피해자는 개통 대리점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한편, 보안 당국에 따르면 이번 사건 피해자들이 특정 링크에 접속하거나 악성 앱을 설치한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일반적인 스미싱 범죄와는 사건의 양상이 다른 만큼 개통 과정에서의 범행 가능성을 살폈으나 단서를 잡을 만한 내용은 파악되지 않은 셈이다.
이런 가운데 광명시와 인접한 지역인 금천구에서도 비슷한 시기 닮은꼴의 사건이 잇달아 발생했다.
금천구 사건 피해자들 또한 지난달 26일부터 지난 5일까지 비슷한 수법으로 800만원가량의 피해를 봤다며 경찰에 신고했다.
이번 사건이 알려지며 뒤늦게 피해 사실을 인지하고 추가 신고에 나서기로 한 인원도 있어 향후 피해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피해자 중에는 KT 전산망을 통하는 알뜰폰 요금제 이용자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기지국과 중계기 등 네트워크 장비를 해킹하는 해커가 이번 사례처럼 비교적 소액의 범죄 수익을 노리고 범행하는 경우는 드물어 사건은 점점 미궁 속으로 빠지는 모양새다.
경찰은 피해자의 진술에 근거해 휴대전화 개통 경로를 확인했으며,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수사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