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원 순직 사건과 수사 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채해병 특별검사팀(특검 이명현)이 박진희 전 국방부 군사보좌관(육군 소장)을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모해위증 혐의 피의자로 입건했다.

정민영 채해병 특검보는 5일 정례 브리핑에서 “채상병 사망사건 관련 국방부가 재조사를 진행하던 당시 이종섭 전 장관의 보좌관이었던 박진희 전 보좌관을 피의자로 조사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아 다음주부터 조사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정 특검보는 “박 전 보좌관이 특검의 수사를 방해하거나 지장을 줄 우려가 있다고 보고 특검법 2조 2항에 따라 9월3일 국방부에 직무배제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국방부는 이날 오전 박 전 보좌관의 직무를 정지했다.
박 전 보좌관은 수사 외압 의혹이 불거진 2023년 7∼8월 이 전 장관과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 등 핵심 관계자들과 긴밀히 연락을 주고받으며 국방부 조사본부 등 수사 관계자들에게 외압을 행사한 혐의를 받는다. 박정훈 해병대수사단장(대령)의 항명죄 혐의 재판에서 모해위증을 한 혐의도 있다. 모해위증은 재판에 출석한 증인이 형사사건 또는 징계사건의 피고인, 피해자, 징계 혐의자 등을 모해할 목적으로 허위 진술을 했을 때 성립하는 범죄로 단순 위증죄보다 무겁게 처벌된다.
박 전 보좌관은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핵심 참모로, 2023년 7월30일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과 박정훈 대령이 채상병 사건 초동조사 결과를 이 전 장관에게 보고하던 당시 현장에 동석한 인물이다. 윤 전 대통령은 이튿날인 7월31일 대통령실 주재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조사 결과를 보고받은 후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하느냐’며 격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의 직후 윤 전 대통령과 이 전 장관은 통화를 나눴고, 이어 이 전 장관은 해병대수사단의 언론 브리핑 취소 및 사건 경찰 이첩 보류를 지시해 해병대수사단에 외압을 가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특검팀은 박 전 보좌관이 채상병 사건을 재조사하던 국방부 조사본부에 ‘장관 지시’라며 혐의자를 줄이라고 압박했다고 보고 7월28일과 30일 두 차례 참고인으로 조사해왔다. 특검팀은 다음주 중반부터 박 전 보좌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본격적으로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