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실패라는 오명에도 유럽 전역 꽃 피운 ‘1848 혁명’ 유산

입력 : 2025-09-06 06:00:00 수정 : 2025-09-04 19:23:38
정진수 기자 je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혁명의 봄1·2/ 크리스토퍼 클라크/ 이재만 옮김/ 책과함께/ 6만5000원

 

이전의 관습이나 제도, 방식 따위를 단번에 깨뜨리고 질적으로 새로운 것을 급격하게 세우는 일. 바로 혁명(Revolution)의 정의다.

통상 이런 혁명은 ‘프랑스혁명’, ‘러시아혁명’ 등에서 나타나듯 하나의 국가에 한정됐다. 반면 ‘1848년 혁명’은 ‘복수의 혁명’이 연쇄적으로 일어나며 시대의 흐름을 바꿨다. 당시 혁명가들이 이주, 망명, 여행, 공동투쟁, 비밀결사 등을 통해 파리, 베를린, 스위스, 시칠리아, 오스트리아, 헝가리 등 여러 나라에서 활동하며 국제공조를 추구했지만, 결과적으로 ‘실패한 혁명’이라는 ‘오명’을 달고 다녔다.

크리스토퍼 클라크/이재만 옮김/책과함께/6만5000원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역사학 흠정교수인 저자는 혁명 이전의 배경과 성취, 흐름 등을 살피며 ‘1848년 혁명’ 재평가를 시도한다. 저자는 혁명의 배경을 보기 위해 기근 문제, 노동 운동, 민족주의자들의 국권 회복 요구 등 사회적 분위기와 자유주의, 급진주의, 보수주의 등 당대의 다양한 사상과 각국의 정치·사회·경제적 상황을 두루 살핀다. 그렇게 무장봉기를 통해 기존 권력을 몰아내고 새롭게 집권한 혁명 초기에는 “사람들은 어지러울 정도의 일체감과 만장일치를 느끼고 대양과 같은 집단적 자아에 젖어들었다.” 그러나 이내 사회적 열망의 스펙트럼이 너무 넓고, 그 안에 무수한 차이가 있음을 깨달았고, 기획·이념·주장은 서로 맞부딪치며 불협화음을 냈다. 당시 혁명 주체는 온건파, 급진파, 보수파로 나뉘었는데 자유주의자들이 포진한 온건파는 정권 교체로 이미 혁명을 완수했고 남은 과제는 혁명의 성과를 안정화하는 것이라는 입장이었던 반면 사적 자유와 권리보다 평등과 분배를 중시한 급진파는 불평등을 낳는 사회구조 자체를 개혁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보수파는 혁명과 개혁에 반대했다.

혁명이 무너진 직접적 원인에는 지정학적 요인이 있었다. 혁명기의 급진파와 자유주의파는 국경을 넘나들며 놀라운 초국적 네트워크를 구축했지만, 그런 네트워크는 수평적이었기에 결정적인 힘을 발휘하는 데 필요한 수직적 구조와 자원이 없었다. 저자는 이를 “탑이 광장을 이겼다. 위계제가 네트워크를 물리쳤다. 권력이 이념과 논변에 승리했다”고 표현했다.

그러나 ‘실패한 혁명’으로 평가절하할 수는 없다. ‘범유럽적 혁명’인 1848년 혁명은 향후 유럽 대륙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무엇보다 저자는 1848년 혁명가들의 문제의식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라고 지적한다. 현대사회의 화두인 노동, 불평등, 차별, 의회 안의 느린 정치와 의회 밖의 빠른 정치, 자유주의적 제도의 기능성 등은 170여년 전 혁명가들이 제기했던 노동할 권리, 노동과 자본의 균형, 노동하는 빈민층의 곤경, 불평등의 심화, 도시의 사회적 위기, 인종과 젠더 평등과 관련해 제기했던 문제들과 모두 맞닿았기 때문이다.


오피니언

포토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
  •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
  • 박지현 '아름다운 미모'
  • 블랙핑크 제니 ‘수줍은 손인사’
  • 카리나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