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계엄해제 표결 방해’ 의혹을 수사 중인 내란 특별검사팀(특검 조은석)이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를 향해 “진상규명에 필요한 분”이라며 특검 수사에 협조할 것을 요청했다.

박지영 특검보는 4일 브리핑에서 한 전 대표에 대한 소환 통보가 이뤄졌는지 묻는 말에 “한동훈 대표는 사건의 진상을 규명에 있어 필요한 분”이라며 “(특검팀에) 와서 관련된 말씀을 해주시면 누구보다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내란특검은 계엄해제 방해 의혹과 관련해 한 전 대표를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할 방침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비상계엄 당시 당 대표이던 그는 같은 당 의원들에게 “본회의장으로 모여달라”며 계엄 해제 표결 참여를 유도했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는 잘못된 것입니다. 국민과 함께 막겠습니다”는 메시지를 내기도 했다.
하지만 추경호 당시 원내대표가 여의도 당사 등으로 의원총회 장소를 세 차례 변경했고 결국 표결에는 국민의힘 의원 108명 중 ‘친한계’(친한동훈계)로 불리는 의원 18명만 참여했다. 특검은 한 전 대표가 조사에 응할 경우 계엄 표결 전후 당내 의사결정 과정 등을 확인할 거로 보인다.
특검은 그동안 우원식 국회의장과 김민기 국회 사무총장, 더불어민주당 김상욱·김성회·박성준·백혜련 의원, 국민의힘 조경태·김예지 의원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지난 2일엔 표결을 방해했다는 혐의로 입건된 추 의원 자택과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 했다.
다만 원내대표실과 행정국에 대한 압수수색은 국민의힘 의원들 저지에 막혀 특검은 2일부터 이날까지 사흘 연속 압수수색 시도에 나서고 있다. 박 특검보는 “법에 따라 원만한 집행이 될 수 있도록 협의를 계속할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내란특검은 이날 오후 2시부터 외환 의혹과 관련해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했다. 국정원 출신인 박 의원은 제보 등을 바탕으로 북한 무인기 침투 작전 등 외환 사건과 관련한 의혹을 제기해왔다.
박 의원은 특검에 출석하며 기자들에게 “새 정부 출범 후 자체적 감찰·감사도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상태에서 특검이 내란의 실체를 규명하고 외환 유치 부분을 파고드는 데 상당히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며 “오늘 조사에서 성실히 진술해 특검의 ‘사초쓰기’를 단 한 자라도 거들고자 한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