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이 4일 이재명 대통령에게 정년 연장 및 주 4.5일제 도입 논의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 대통령과 오찬을 함께 하면서 이 같은 건의 사항을 전달했다.

김 위원장은 우선 정년 연장과 관련해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한국 사회의 미래를 위해 65세로 정년을 연장하는 것은 단 하루도 늦출 수 없는 과제"라며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국회에서 노사정이 깊이 있는 대화를 진행하는 만큼 대통령실도 각별한 관심을 가져달라"고 말했다.
다만 김 위원장은 "정년연장이 주요한 국정과제이지만 한국노총은 현실적 여건을 고려해 유연하게 협의에 임할 것"이라고 단서를 달았다.
주 4.5일제에 대해선 "내년을 근로 시간 단축의 역사적인 첫해로 만들어야 한다"며 "과감한 주 4.5일제 시범사업 도입이 필요하다. 병원·은행 등에서 노사 간 자율 협약을 통해 즉시 시행하도록 정부가 독려해달라"고 했다.
또 "복합위기 극복을 위해 경제주체들이 과감한 결단으로 대타협에 나서는 게 절실한 시기"라며 "대통령이 경제주체들을 모아 일정 기간 숙의를 하고서 그 틀 안에서 사회적 대타협을 선언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함께 대통령실을 찾은 양경수 전국민주노동조합(민주노총) 위원장은 "정부가 성공하려면 광장에서 함께 외친 것처럼 적폐 세력을 청산하고 사회 대개혁을 향해 흔들림 없이 전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 위원장은 "이재명 정부가 국민주권정부를 표방한 만큼 노동 주권도 보장됐으면 좋겠다"며 "원천 교섭과 초기업 교섭을 통해 노동시장 이중구조와 양극화를 해소하고 노동 3권이 누구에게나 온전히 부여돼야 근본적 변화가 가능하다. 노동자의 삶을 지키기 위해 민주노총은 계속 싸울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기후위기와 불평등 노동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면적인 노정 교섭을 제안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한미 관세협상에 대해서도 "정부가 우리 국민과 노동자를 지키는 당당한 외교에 나서주길 바란다"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페이스 메이커'가 아니라 노동자와 서민을 위한 '행복 메이커'가 되시면 좋겠다"고 말했다.
<연합>연합>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