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결제·본인인증 한번에”…토스, ‘페이스페이’로 시장 판도 바꿀까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9-02 20:10:45 수정 : 2025-09-02 20:10:44
윤솔 기자 sol.yu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2025년 3월 시범운영…가입자 40만 돌파
2026년까지 100만 가맹점 목표로
“심리적 장벽, 시간 지나면 달라질 것”

토스가 얼굴을 인식해 결제하는 ‘페이스페이’를 정식 출시하며 오프라인 결제시장에 출사표를 내밀었다. 현재는 서울 2만개 가맹점에서 시범운영 중이지만, 2026년까지 이를 전국 100만개로 확대한다는 야심 찬 계획을 밝혔다. 

 

2일 서울 강남구 에스제이쿤스트할레에 ‘토스 프론트’ 단말기가 설치돼 있다. 단말기 상부에 얼굴 인식을 위한 카메라가 탑재돼 있다. 윤솔 기자  

토스는 2일 서울시 강남구 에스제이쿤스트할레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페이스페이 정식 출시를 발표했다. 아울러 다양한 환경에서 페이스페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3종(토스 프론트뷰·프론트·프론트캠)을 공개했다. 

 

페이스페이는 얼굴과 결제 수단을 사전에 토스 앱에서 등록하면 매장에서 단말기를 바라보는 것만으로 결제가 이루어지는 신기술 서비스다. 실제로 현장에서 결제를 시도해 보니, 단말기를 향해 고개를 들자마자 1초 남짓한 순간에 토스 앱에서 결제가 완료됐다는 알림이 떴다. 페이스페이와 연동된 은행 계좌에서 결제 금액만큼이 빠져나간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난 3월 시범 운영을 시작한 페이스페이는 2개월 만에 서울 2만개 가맹점으로 퍼졌다. 지난달 기준 페이스페이 누적 가입자는 40만명 이상, 한 달 내 재이용률은 약 60%에 이른다.

 

토스는 “올해 말까지 전국 30만개 매장, 2026년까지 100만개 매장으로 페이스페이를 확대해 오프라인 결제의 새로운 표준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마트24, GS25, CU, 세븐일레븐 등 편의점과 LG전자베스트샵, 롯데시네마 등 전방위적인 브랜드와의 협업도 예고했다. 일상생활 전반으로 페이스페이를 빠르게 확산시킨다는 목표다.

 

페이스페이 개발을 이끄는 최준호 테크니컬 프로덕트 오너(TPO)는 “오프라인에서 필요한 모든 결제 절차를 얼굴 인식 한 번으로 끝내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얼굴 인식 결제와 함께 성인 인증이나 본인확인이 가능한 점을 활용하면 향후 콘서트장이나 숙박업소 결제 등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편리함만큼이나 보안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토스에 따르면 페이스페이에는 실제 사람 여부를 확인하는 ‘라이브니스’, 유사한 얼굴을 정밀하게 구분하는 얼굴인식모델,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등 다층 보안 기술이 적용된다. 

 

최 TPO는 “페이스페이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사전적정성 검토를 받은 유일한 얼굴 인식 결제 기술”이라며 “업계 최고 화이트해커팀이 상주하며 보안을 점검하고, 인터넷이 차단된 망분리 환경에 데이터를 저장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부정 결제가 발생할 경우 선제적으로 보상하는 제도를 운영해 이용자 신뢰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2일 서울 강남구 에스제이쿤스트할레에 토스 페이스페이 단말기 3종이 놓여 있다. 왼쪽부터 토스 프론트뷰, 토스 프론트, 토스 프론트캠이 설치된 키오스크. 토스 제공 

토스 간편결제 사업을 총괄하는 오규인 부사장은 “페이스페이는 단순한 결제 수단을 넘어 오프라인 여정 전체를 바꾸는 연결고리가 될 것”이라며 “단말기를 보급하는 토스플레이스, 매장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인토스, 그리고 페이스페이까지 유기적으로 결합해 이용자의 오프라인 결제 경험을 하나로 이을 것”이라고 말했다. 토스 측은 지난 2월 10주년을 맞이해 토스 앱 안에서 온라인 매장을 구현하는 앱인토스 플랫폼을 선보인 바 있다. 

 

이날 토스 측은 페이스페이와 관련한 다양한 질문에도 답했다. 최 TPO는 “성형이나 사고 등으로 얼굴이 변할 경우 얼굴 재등록이 필요할 수 있다”며 “쌍둥이의 경우 기술적으로 변별이 가능하도록 검증을 마쳤다”고 말했다. 얼굴 정보를 마케팅에 활용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는 “얼굴 정보는 암호화된 이미지로 안전하게 저장된다”며 “마케팅 활용은 지금으로선 계획이 없고, 하게 되더라도 별도의 동의를 받아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TPO는 “초기에는 심리적 장벽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점차 보수적인 유저들도 페이스페이를 사용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솔 기자 sol.yu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블랙핑크 제니 ‘수줍은 손인사’
  • 블랙핑크 제니 ‘수줍은 손인사’
  • 카리나 '해맑은 미소'
  • 박은빈 '반가운 손인사'
  • 전지현 '단발 여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