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무장관은 “국제여론 고려해야” 반론
집단학살 연구자들 “이, 제노사이드 자행”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제노사이드(집단학살)를 자행하고 있다는 거센 비판 속에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로부터 생존 인질 일부만 돌려받는 휴전안에 합의하지 않겠다고 재확인했다.
1일(현지시간) 타임스오브이스라엘(TOI) 등에 따르면 전날 저녁 열린 안보내각 회의에서 네타냐후 총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에게 “부분적 합의는 제쳐놓고 전력을 다해 일을 마무리하라”고 말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달 하마스는 60일간 휴전하면서 자신들이 억류 중인 생존 인질 20명 중 10명만 석방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카타르·이집트의 중재안에 동의했지만, 이스라엘은 이를 수용하지 않고 있다.
네타냐후 총리는 미국과 협력할 기회가 제한적인 데다 전쟁이 60일 후에 재개되면 휴전안에 따라 군이 옛 전선으로 물러나면서 가자지구에 대한 통제가 두 달이 아닌 6개월 뒤로 후퇴하게 되는 등 큰 대가를 치러야 하게 된다는 논리를 내세웠다. 그는 “이스라엘이 하마스를 물리치지 않고, 부분적인 합의에 동의한다면 하마스에 굴복한 것으로 비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기드온 사르 외무장관 등은 팔레스타인을 주권국가로 인정하자는 국제적 여론이 높아진 점 등의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며 반론을 편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국제집단학살학자협회(IAGS)는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이 펼치는 정책은 제노사이드에 대한 국제법적 정의에 부합한다”는 내용의 결의안을 공개했다. IAGS는 3쪽 분량의 결의안에서 2023년 10월 하마스의 테러 이후 이스라엘 정부가 가자지구의 민간인과 병원, 주택 같은 민간 기반 시설을 상대로 무차별적이고 고의적인 공격을 감행하는 등 조직적이고 광범위한 반인도적 범죄와 전쟁범죄, 집단학살에 가담했다고 규정했다. 특히 아동 5만명이 이스라엘에 의해 죽거나 다쳤다며, 이는 가자지구 팔레스타인인들의 집단 생존 및 재생 능력을 저해한다고 비판했다. 이스라엘 외무부는 해당 결의안이 하마스의 거짓말과 부실 조사에 기반을 두고 있다며 제노사이드의 피해자는 이스라엘이라고 반박했다.
이러한 가운데 이스라엘은 가자지구 북부의 인구밀집 지역인 가자시티 장악계획도 밀어붙이고 있다. 로이터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이날도 가자시티에 탱크를 보내고 셰이크 라드완 동부에 장갑차 투입해 원격 폭파하는 등 공세를 확대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