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증권엔 “제도 도입 위해 입법 지원”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가 가상자산에 대해 “내재적 가치가 없다”는 다소 부정적인 입장을, 토큰증권에 대해선 “최우선 과제”로 언급하며 가상자산 업계와 토큰증권(STO)업계의 희비가 교차했다.
2일 가상자산업계 및 금융권에 따르면 이 후보자는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한 인사청문 서면답변에서 “가상자산은 가격 변동성이 큰 만큼 가치 저장, 교환의 수단 등 화폐의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한다고 보기 어렵다”며 이처럼 밝혔다.

연금·퇴직계좌에 가상자산 투자를 허용할 것인지에 대해선 “가상자산은 가격 변동이 심하고 투기성이 강해, 노후 안정적 소득 보장을 위한 퇴직·개인연금에서 투자하는 것에 우려하는 시각이 많다”고 답했고,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과 관련해선 “비트코인 현물 ETF 도입 영향에 대해서는 다양한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이 후보자의 이 같은 입장에 가상자산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법제화를 기대하고 있던 가상자산 업계에선 규제 일변도 정책이 이어질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들린다. 한 가상자산거래소 임원은 “이미 미국 등 선진국들이 가상자산을 전략비축자산으로 삼고 있는 상황에서 시대에 뒤처진 이야기”라며 “가상자산은 보안성과 전송성 등 내재적 가치가 충분하다”고 말했다.
이 후보자는 STO에 대해선 “조속한 제도 도입을 위해 국회 입법논의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자의 디지털자산에 대한 이 같은 인식차는 STO 경우 국회 여야 간 이견차가 없는 만큼 제도권 편입을 선제적으로 하겠다는 의미로 읽힌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