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료품·음료 실질 소비지출 월 34만원
식료품·음료 등 가구당 먹거리 소비가 9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으로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기후에 가공식품 출고가 인상까지 겹치면서 먹거리 구매력이 하락하고 있다.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가구 식료품·비주류음료 소비지출(명목)은 월평균 42만3000원으로 1년 전보다 1.8% 늘었다. 다만, 물가 상승분을 제외한 실질 소비지출은 34만1000원으로 1.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먹거리 지출액 자체는 늘었지만 물가 상승분을 제외한 실제 소비 규모는 줄었다는 뜻이다. 올해 2분기 먹거리 실질 지출액은 같은 기준으로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9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고, 기간을 더 확대하면 2016년 2분기(33만원) 이후 9년 만에 가장 적은 규모다.
2분기 식료품·음료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2.9%에 달했다. 가구당 먹거리 실질지출은 누적된 고물가로 2023년 4분기부터 네 분기 연속 줄었다가 작년 4분기 1.8% 늘며 반등했다. 하지만 올해 1분기 증가율이 0.4%로 위축된 뒤 2분기 다시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작년 연말 큰 폭으로 올랐던 환율이 수입 원자재 가격에 반영되면서 식품기업들이 출고가를 줄줄이 올렸고 결국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식료품·비주류음료는 전체 소비지출의 14% 정도를 차지하는 주요 지출 분야다. 필수 지출인 만큼 소비량을 크게 줄이는 대신 더 싼 대체품을 소비했을 수 있다는 게 정부 분석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