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 “여야 회동 회피 의도” 분석
국힘 신임 사무총장 재선 정희용
정책위의장엔 4선 김도읍 내정
이재명 대통령의 여야 지도부 회동 제안에 대해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대통령과의 일대일 회동’을 조건으로 수용 의사를 밝히면서, 영수회담 성사 여부가 정치권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양측이 형식과 의제 등을 두고 물밑 협상에 나선 가운데 성사 가능성이 거론되지만, 9월 정기국회를 앞둔 극한 대치 국면 속에서 무산될 수 있다는 전망도 교차하고 있다.

31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전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장 대표의 영수회담 제의와 관련해 “의제와 내용에 대해 (대통령실과) 논의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물밑에서 조율 중”이라고 말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가급적 국민의 민생과 관련된 내용이 두 분(이 대통령과 장 대표) 사이에서 논의되는 자리가 만들어져야 한다”며 “이미 공은 대통령실로 넘어간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대통령실 역시 국민의힘과 관련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는 점을 인정했다. 강유정 대변인은 이날 언론 공지를 통해 “(이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 회동은 현재 물밑 협의 중이며 일정이 정해지는 대로 공지하겠다”고 밝혔다.

장 대표가 영수회담을 역제의한 배경을 두고는 다양한 해석이 나온다. 9월 정기국회에서 각종 쟁점 법안 처리를 두고 여야가 첨예하게 대치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국민의힘이 원하는 의제를 관철하고 정국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시각이 있다. 사실상 ‘1.5선’으로 정치적 입지가 크지 않은 장 대표가 본인의 체급을 높이기 위해 대통령과의 독대를 꾀한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다만 당 안팎에선 여야 회동 자체를 무산시키기 위한 장 대표의 전략적 행보로도 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의 ‘야당 패싱’으로 여야 갈등이 고조된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수용하기 어려운 조건을 대통령실에 제시해 여야 회동을 피하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것이다.
한편 국민의힘은 이날 사무총장에 재선 정희용 의원, 정책위의장에 4선 김도읍 의원을 각각 내정했다. 대표와 원내대표, 정책위의장이 모여 정책을 논의하는 회의체 ‘미래전략회의’도 신설했다. 지명직 최고위원과 여의도연구원장 등은 내부 검토를 거쳐 차후 결정할 예정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