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국내 저축은행이 2000억원대 흑자를 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채권 정리 여파로 1분기에 이어 2분기 연속 흑자를 낸 것인데, 1분기 9%대까지 치솟았던 연체율도 7%대로 떨어졌다.

금융감독원이 28일 발표한 ‘상반기 저축은행 및 상호금융조합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상반기 저축은행 79곳의 당기순이익은 2570억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상반기에는 3958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으나 이번에 흑자로 전환했다.
금감원은 저축은행이 그간 부실채권을 적극적으로 정리하고 충당금을 선제적으로 적립한 결과 대손비용이 감소하면서 흑자로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저축은행업권은 상반기 공동펀드를 조성해 1조4000억원 규모의 PF 부실채권을 정리했다. 연체율 등 자산건전성 지표도 개선됐다.
6월 말 저축은행 연체율은 7.53%로 작년 말(8.52%) 대비 0.99%포인트 하락했다.
저축은행 연체율은 작년 말부터 상승세를 보이며 지난 1분기 말에는 9%까지 치솟았는데, 2분기에 1%포인트 넘게 떨어졌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4.6%로 작년 말(4.53%) 대비 소폭 올랐으나, 기업대출 연체율은 10.82%로 작년 말(12.81%)보다 1.99%포인트 떨어졌다. 고정이하여신비율도 9.49%로 작년 말(10.68%)보다 1.19%포인트 하락했다.
저축은행들의 6월 말 기준 총자산은 118조8000억원으로 작년 말(120조9000억원)보다 2조1000억원 감소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적극적인 부실채권 정리와 대손충당금 적립 등 리스크 관리 강화 노력의 결과로 하반기에도 수익성과 자산건전성은 점진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라면서도 “부동산 시장 경기회복 지연, 가계부채 관리 강화 등에 따라 본격적인 ‘턴어라운드’ 시점은 다소 지연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농협, 신협, 수협 등 상호금융조합은 상반기에 4176억원의 순이익을 냈으나 흑자 규모는 작년 동기(1조639억원) 대비 60% 넘게 줄었다.
이자이익이 줄고 대손비용이 늘며 금융 순이익이 2조772억원으로 작년 동기(2조7531억원) 대비 6759억원 감소한 영향이다.
연체율은 5.7%로 작년 말(4.54%) 대비 1.16%포인트 올랐으며, 고정이하여신비율도 6.27%로 작년 말(5.26%) 대비 1.01%포인트가 상승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