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30세 미만 ‘2형 당뇨’ 13년 새 4배 ‘쑥’

입력 : 2025-08-27 06:00:00 수정 : 2025-08-26 18:26:23
장한서 기자

인쇄 메일 url 공유 - +

10만명당 270명… 대부분 비만
저소득층 3.7배 더 많이 걸려

국내 30세 미만 젊은 세대 사이에서 주로 비만과 연관된 ‘2형 당뇨병’의 유병률(당뇨병을 지닌 인구의 비율)이 최근 13년 새 4배 가까이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에 따르면 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재현 교수팀이 2008∼2021년 30세 미만 당뇨 환자 13만명의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과거 소아·청소년에게서는 1형 당뇨병이 주로 발생했으나 최근 세계적으로 청소년과 젊은 성인에서 2형 당뇨병 환자가 빠르게 늘었다.

사진=뉴시스

1형 당뇨병은 췌장에서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아 혈당 조절이 되지 않는 질환이다. 주로 소아·청소년기에 발병해 ‘소아당뇨’로 불리기도 한다. 2형 당뇨병은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생기는 것으로, 2형 당뇨병 환자 상당수가 비만을 동반한다.

연구에 따르면 30세 미만의 2형 당뇨병 환자 유병률은 2008년 인구 10만명당 73.3명에서 2021년 270.4명으로 3.7배가 됐다. 그만큼 젊은층 사이에서 비만인 경우가 늘어난 것이다. 1형 당뇨병 유병률도 같은 기간 인구 10만명당 21.8명에서 46.4명으로 2.1배로 늘었다.

환자 발생률(새롭게 당뇨병에 걸린 사람의 비율)의 경우 같은 기간 2형 당뇨병 환자는 인구 10만명당 27.6명에서 60.5명으로 2.2배 증가했다. 1형 당뇨병 환자는 3명에서 3.8명으로 소폭 늘어났다.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을수록 당뇨병 환자가 많았다. 저소득층(의료급여 수급자)은 중·고소득층(건강보험 가입자)보다 1형 당뇨병은 2.9배, 2형 당뇨병은 3.7배 더 많이 발생했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소아와 젊은 연령층에서 당뇨병 유병률이 지속해서 올라 국가 차원의 관리가 시급하다”며 “특히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에서 건강 형평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한서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이주빈 '깜찍한 볼콕'
  • 신은수 ‘심쿵’
  • 서예지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