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들의 ‘중독’ 반응 집중 조명
“겨울왕국 같은 문화 영향력 도달”

“몸이 자연스럽게 리듬을 타고, 노래를 따라 부르지 않을 수 없게 돼요.”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사진)에 대한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에 거주하는 실비아 크루즈(41)의 이야기다. 2∼13세 자녀 다섯 명을 키우는 크루즈는 처음 자녀들이 케데헌을 보고 싶다고 말했을 때만 해도 부정적이었지만 영화를 보고 난 뒤에는 오히려 본인이 영화에 더 빠져들었다. 지금까지 영화를 최소 12번 이상 봤다던 크루즈는 “멜로디가 정말 풍부하고 섬세하다”며 “자녀들과 함께 사운드트랙도 듣는다”고 전했다.
미국 유력일간지 뉴욕타임스(NYT)가 22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케데헌’의 이례적인 인기를 집중 조명하며 소개한 사례 중 하나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모두의 머리를 흔들게 하고 있다. 특히 부모들을’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케데헌에 빠진 미국 부모들의 사례가 소개됐다.
뉴저지주에 사는 7세와 9세 딸을 둔 엄마 멜리사 자로(42)는 원래 K팝에 대해 잘 몰랐지만 자녀들과 함께 케데헌을 보며 유대감을 쌓고 함께 즐기게 됐다고 했다. 자로는 “아이들과 함께 어릴 때부터 여러 프로그램을 봤지만 아이들이 지루하고 느린 것을 싫어해서 끝까지 본 것이 별로 없다”며 “하지만 이 영화는 (전개가) 훨씬 빠르다”고 말했다.
일부 밀레니얼 세대의 부모들은 “보이밴드와 걸그룹의 황금기를 겪은 세대”라며 이 같은 경험이 K팝 아이돌 음악에 쉽게 빠져들게 했다고 설명했다. 로스앤젤레스(LA)에 거주하는 4세·8세 두 아들을 둔 아빠 크리스 만(43)은 “팝 음악이 우리 DNA에 깊이 잠재돼 있는데 케데헌의 화려한 안무와 터무니없이 중독성 있는 멜로디는 우리 안에 잠들어 있던 1990년대 크라켄(신화 속의 괴물)을 깨워냈다”고 했다.
이를 두고 NYT는 “‘특수함 속 보편적인 이야기’를 담은 이 영화는 K팝을 접해본 적 없는 관객들도 끌어들이고 있다”며 “과거 겨울왕국 같은 디즈니 작품들이 달성한 문화적 영향력에 도달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시간이 갈수록 케데헌에 대한 인기가 더 높아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며 “새로운 작품이 공개되면 반짝 시청이 늘었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시청이 줄어드는 일반적인 패턴과 달리 이 영화는 오히려 역주행 기록을 쓰고 있다”고 강조했다.
NYT는 닐슨데이터를 인용해 이 영화가 지난 6월 공개 첫 주 스트리밍 시간이 약 2억5000만분이었다가 다음 달에 4배 이상 늘어 7월 넷째 주에는 10억분을 넘어섰다고 전했다. 영화의 열풍이 스크린에만 국한되지 않고 사운드트랙 ‘골든(Golden)’, ‘유어 아이돌(Your Idol)’, ‘소다 팝’ 등이 빌보드 차트 ‘톱 10’ 안에 들었다면서 “케데헌의 인기는 세계적으로, 특히 미국에서의 K팝 팬덤 성장과 한국 문화 수출이 얼마나 성장했는지 보여주는 최신 사례”라고 짚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