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석유화학 재편 착수, 다른 위기산업도 구조조정 시급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25-08-20 22:57:00 수정 : 2025-08-20 22:57:00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정부가 고사위기에 처한 석유화학산업 재편에 착수했다. 정부가 어제 발표한 ‘석유화학산업 재도약’ 대책은 기업들이 시설 통폐합이나 자발적 인수합병(M&A) 등 자구노력에 나설 경우 금융·세제 등 맞춤형 지원에 나선다는 게 핵심이다. 석유화학업계도 협약식에서 270만~370만t 규모(전체 생산능력의 18∼25%)의 나프타분해시설(NCC)을 감축하고 고부가·친환경제품 전환 등도 약속했다. 뒤늦은 감이 있지만, 지금이라도 민·관이 힘을 합쳐 구조조정에 나서겠다니 다행이다.

국내 5대 기간산업인 석유화학은 그야말로 벼랑 끝에 몰렸다. 한때 영업이익이 1조원을 웃돌았던 에틸렌 생산능력 3위 기업 여천NCC가 부도 직전 대주주의 자금 수혈로 간신히 위기를 모면할 정도다. 석유화학업체들의 설비 가동률이 뚝 떨어졌고 공장 가동을 중단하는 업체도 속출한다. 이대로라면 3년 내 국내 기업의 절반이 사라질 것이라는 충격적인 분석(보스턴컨설팅그룹)까지 나오는 판이다. 이번 위기는 중국·중동발 공급 과잉에 글로벌 수요부진까지 겹친 데 따른 것이다. 석유화학은 원유에서 플라스틱과 합성섬유의 기초소재를 뽑아내는 것인데 중국이 수년전부터 러시아에서 원유를 싼값에 들여와 저가공세를 펼쳤다. 한국의 3분의 1 원가로 제품을 생산하는 중동 산유국까지 가세하니 국내업체들은 버틸 재간이 없다.

사정이 이런데 정부가 뒤로 빠진 채 기업의 자구책에 기대는 방식으로 회생이 가능한지 의문이다. 정부가 직접 나서 기업 간 ‘빅딜’을 제시해야 한다. 설비 통폐합이나 부실사업 정리 등도 기업 스스로 실행하기 어려운 만큼 적극 개입할 필요가 있다. 사업 재편에 상응해 규제 완화와 재정·금융·세제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구조조정 과정에서 야기되는 고용불안을 최소화하는 일도 소홀히 해선 안 된다. 기업들도 뼈를 깎는 자구책과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복원해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위기는 석유화학에만 그치지 않는다. 반도체를 빼곤 자동차·철강·이차전지·디스플레이 등 주력산업들이 대부분 중국과의 경쟁에서 밀려난 지 오래다. 대한상의 조사에 따르면 제조업체 10곳 중 8곳은 주력제품이 ‘레드오션’에 들어섰다고 답했다. 중국발 공급과잉 위기는 개별기업이 대처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제조업 전반에 걸쳐 외환위기 시절에 필적하는 고강도 혁신이 필요한 때다. 더 늦기 전에 정부가 선제적 산업재편과 구조개혁에 나서야 한다. ‘골든 타임’이 얼마 남지 않았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임윤아 '반가운 손인사'
  • 임윤아 '반가운 손인사'
  • 손예진 '우아한 미모'
  • '만삭' 이하늬, 아름다운 미소
  •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