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주요 시중은행과 국책은행 등을 소집해 석유화학업계 금융지원 방안 논의에 나선다. 정부가 경쟁력 위기에 처한 석유화학산업에 관해 구조개편 방침을 밝힌 데 따른 후속조치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21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석유화학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금융권 간담회’를 개최한다.
간담회에는 5대 시중은행(KB·신한·하나·우리·농협)을 비롯해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기업은행 등 국책은행도 참석한다.

이날 정부는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산경장)’를 열고 석유화학산업 구조개편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회의에서 기업이 강력한 자구노력이 담긴 사업 재편안을 먼저 마련해야 맞춤형 지원이 가능하다는 ‘선(先) 자구노력, 후(後) 정부 지원’ 원칙을 제시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정부가 마련한 석유화학 구조개편 방안을 설명하고 채권금융기관에 지원 협조를 요청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대주주의 자구노력이 전제돼야 금융권도 만기 연장 등 지원을 논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위는 채권금융기관 간 협약을 맺어 석유화학 기업들의 자금 수요에 공동 대응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은 만기 연장과 함께 이자 유예, 신규 대출 등과 같은 다양한 지원 방안을 놓고 협의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석유화학 기업들에 대한 금융권 익스포저(위험 노출액)는 30조원대에 달한다. 단일 산업 기준으로 상당히 큰 규모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4일 “석유화학 산업이 글로벌 수요 부진과 중국발 공급 과잉으로 상당히 큰 위기”라며 “관계부처는 석유화학 재편 종합대책을 신속하게 마련하도록 해 달라”고 지시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