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부경대학교가 미국 하버드대·시카고대와 공동으로 나노격자 구조체 기반 태양광 추진 근우주 비행체 개발에 성공했다.
부경대는 재료공학과 김종형 교수와 하버드대·시카고대 공동연구팀이 태양광만으로 공중부양이 가능한 초경량 나노격자 구조체를 설계·제작한 뒤, 고도 50~100km 지구 대기 중간권 비행 가능성을 세계 최초로 입증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8월 14일자에 게재됐다.

부경대에 따르면 지상 50~100km 상공의 중간권은 항공기와 기상관측 기구가 도달하기엔 너무 높고, 인공위성이 관측하기엔 너무 낮아 기존 기술로는 접근이 어려운 대기권 영역이다. 이 구간은 기후 변화 예측과 기상 모델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필수적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지만, 그동안 관측 수단의 부재로 ‘기후 관측의 사각지대’로 남아 있었다. 이번에 개발된 자가부상 비행체는 연료 소비 없이 태양광만으로 반영구적으로 공중부양이 가능해 향후 중간권 탐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동연구팀은 기계적 강도와 경량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나노격자구조 기반의 설계 기법 개발에 성공했다. 김종형 교수가 설계와 제작을 주도한 이번 구조체에는 기존 수 mm 규모 제작에 머물던 나노격자구조를 cm급 대면적으로 빠르게 제작할 수 있는 공정법을 새로 적용했다. 이를 통해 초경량이면서 기계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구조체를 대면적으로 구현해 나노격자구조의 실사용 가능성을 명확히 입증했다.
연구팀이 활용한 ‘포토포레시스’ 현상은 극저압 환경에서 물체의 한쪽 면이 가열되면, 더 강하게 반사되는 기체 분자가 추진력을 만들어내는 물리적 현상이다. 연구팀은 산화알루미늄 기반 나노격자 구조체 하부에 크롬층을 증착해 빛 흡수율을 높이고, 표면 온도 차로 발생하는 포토포레틱 힘이 구조체 무게를 넘어설 수 있도록 설계했다.

김 교수가 제작한 구조체는 직경 1cm, 두께 100마이크로미터 수준이며, 내부는 100나노미터 두께의 박막을 이용해 정밀한 나노격자 형태로 구성돼 있다. 연구팀은 자체 제작한 저압 챔버에서 태양광 강도의 55% 조건, 대기압 26.7Pa(지상 약 60km 고도와 동일) 환경에서 구조체가 공중 부양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중간권에서 지속 비행이 가능함을 실험적으로 입증한 최초 사례다.
이 기술은 초경량 센서를 탑재해 풍속·기압·온도 등 중간권의 실시간 환경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기후 모델 정밀도를 높이고, 복수의 자가부상 비행체를 활용해 대기 상층부 부유형 통신 플랫폼으로서 저지연 통신망 구축에 활용할 수 있다. 또 화성과 같이 대기가 희박한 행성에서도 적용 가능성이 높아 차세대 행성 탐사 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며, 미 항공우주국(NASA) 등에서도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김종형 교수는 “이번 연구는 나노격자구조를 단순한 실험실 소재가 아닌 실제 대기·우주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구조체로 발전시킨 첫 사례”라며 “향후 통신 기능과 다양한 센서를 통합해 실시간 관측 및 행성 탐사 기술로 확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하버드대 Star-Friedman Challenge와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개발 기술은 하버드대 기술사업화센터를 통해 스타트업 Rarefied Technologies로 이전돼 상용화가 진행 중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