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건설수주 규모가 2040년 300조원대를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18일 ‘미래 건설산업의 변화와 전망’ 보고서에서 “국내 건설수주가 올해 193조3000억원에서 2040년 304조7000억원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2025∼2030년에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와 공사비 급등 등으로 과거보다 낮은 연평균 2.4% 성장을 기록하겠으나 2030∼2035년에는 부동산 PF 문제 해소와 가덕도 신공항, 용산국제업무지구 등 대형 사업 본격화로 성장률이 연평균 3.7% 수준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어 2035∼2040년에는 사회기반시설(SOC) 투자 감소로 연평균 3.1%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세부 공종별로는 주택과 철도, 궤도가 미래에도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건산연은 향후 건설산업 성장을 이끌 주 요인으로는 △대형 국책사업 추진 △스마트·디지털 건설 확산 △친환경·탄소 중립 인프라 수요 확대 등을 꼽았다.
박철한 건산연 연구위원은 “건설산업의 미래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전략적 접근이 요구된다”며 “건설업계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산업 체질을 개선하고 미래 대비 전략을 추진하는 가운데 궁극적으로 변화하는 수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