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정부 부동산 대책에도 성동 집값 2% 급등…서울 상승세 안 꺾였다

입력 : 2025-08-18 19:54:39 수정 : 2025-08-18 19:54:39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서울 평균 집값 9억2000만원 돌파…경기·인천은 상승·인천은 보합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뉴스1

 

서울 성동구의 한 아파트를 보던 김모(42) 씨는 불과 한 달 새 집값이 수천만원 뛰자 매수를 망설였다. 정부가 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묶었지만, 성동 집값은 아랑곳하지 않고 오히려 2% 넘게 올랐기 때문이다.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한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 여파로 지난달 서울 집값 상승세가 한풀 꺾였다.

 

한국부동산원이 18일 발표한 ‘7월 전국 주택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서울 주택종합(아파트·연립·단독) 매매가는 지난달 0.75% 상승하는 데 그쳤다. 6월(0.95%) 대비 오름폭이 줄며 6년 10개월 만에 최대 폭을 기록했던 상승세가 둔화한 것이다.

 

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 단지 일부에서 가격이 올랐지만, 관망세와 수요 위축으로 전반적인 상승 폭은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주요 인기 지역은 여전히 강세였다. 서울 성동구는 지난달에만 2.07% 급등했고, 용산구(1.48%), 마포구(1.37%), 영등포구(1.34%), 송파구(1.28%), 양천구(1.26%), 강남구(1.24%), 서초구(1.13%) 등도 1% 넘게 올랐다.

 

서울 아파트만 따로 보면 1.09% 상승해 전달(1.44%)보다 둔화했지만 여전히 1%대의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경기도는 0.16% 올라 전달(0.11%)보다 오름폭이 확대됐고, 인천은 0.08% 하락해 6월과 같은 낙폭을 보였다.

 

KB국민은행 박원갑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6·27 대책은 수도권 고가 주택 갈아타기를 억제하는 성격이 강해 경기·인천 실수요자 관심이 늘어날 수 있다”며 “다만 거래량이 급감하는 만큼 풍선효과가 나타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7월 기준 수도권 평균 집값은 6억1311만 원으로, 서울은 9억2645만 원, 경기는 4억7489만 원, 인천은 3억1259만 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1~7월 누적 상승률은 수도권이 3.11%로, 지난해 같은 기간(0.15%)의 두 배를 넘겼다.

 

전국 주택 매매가는 0.12% 상승하며 6월(0.14%)보다 둔화했고, 지방은 0.08% 하락해 낙폭을 조금 줄였다.

 

전국 주택 전셋값은 지난달 0.04% 올라 전달(0.03%)보다 상승 폭을 키웠다. 서울과 수도권은 각각 0.24%, 0.11% 올라 같은 수준을 유지했고, 지방은 -0.03%로 낙폭을 줄였다.

 

월세는 전국적으로 0.09% 올라 6월(0.06%)보다 상승 폭이 확대됐다. 수도권(0.15%), 5대 광역시(0.03%), 8개 도(0.03%) 모두 오름세였다.

 

서울의 평균 전셋값은 4억5264만 원, 월세는 보증금 1억4666만 원에 월세 116만8000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원은 “매수 심리가 위축되면서 전·월세 선호가 커졌고, 역세권·학군지 등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임대차 가격이 꾸준히 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만삭' 이하늬, 아름다운 미소
  • '만삭' 이하늬, 아름다운 미소
  •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엄정화 '반가운 인사'
  • 이엘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