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야 소통·조직개편 뒤로 밀릴 듯
대통령실이 이번 주말부터 시작되는 한·일,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순방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일본과의 셔틀외교 재개를 포함한 한·일 협력 강화, 미국과는 ‘한·미동맹 현대화’를 비롯한 안보협상과 관세협상 후속논의 등 이재명정부의 ‘국익 중심 실용외교’가 시험대에 오르는 만큼 대통령실 내부에 긴장감이 감돈다.

25일 개최되는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한·미 양측의 안보 관련 협상이 핵심 의제가 될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동맹 현대화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동맹 현대화는 주한미군의 규모 및 역할의 변화와 이에 따른 한국군의 역할 확대, 그리고 한국의 국방비 증액 등 다양한 쟁점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 대통령은 한반도의 안보를 지키면서 상호 이익이 되는 절충점을 도출해야 하는 난제를 풀어야 한다.
또 하나는 통상 분야다. 지난 한·미 관세협상의 후속조치로 남겨진 대미투자 등 세부적인 협상과 더불어 반도체 등 품목별 관세율을 유리하게 끌어내야 하는 것도 이 대통령의 협상 과제다.
이 대통령은 23일 일본을 방문해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을 갖는다. 이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한·일 상생협력을, 이시바 총리도 패전일 전몰자 추도사에서 일본 총리로는 13년 만에 ‘반성’을 언급해 한·일 관계 개선이 급물살을 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대통령실이 이번 주는 해외순방에 집중하면서 광복절 특별사면과 국민임명식 등으로 고조된 야권과의 긴장 해소를 위한 대화의 장은 자연스레 밀릴 가능성이 크다.
국정기획위원회의 ‘대국민보고회’에서 발표되지 않은 조직개편안도 정상회담 뒤로 밀릴 공산이 크다. 대통령실에서 의견을 수렴하고 갈등을 조절해 공감대를 끌어내야 하지만 역량을 정상회담에 집중하고 있어 이번 주 내 발표는 어려워 보인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