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정읍시 북면 제3일반산업단지에서 최근 8개월 사이 3건의 화학물질 유출 사고가 발생한 데 대해 지역 시민사회단체가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정읍시민사회연대회의와 전북환경운동연합 등 전북 지역 20여개 시민사회단체는 18일 전북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화학물질 취급 기업들에 대한 관계기관의 관리 부실로 노동자·시민의 안전과 환경이 위협받고 있다”며 “전북환경청과 전북도, 정읍시는 즉각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관계기관에 따르면 이달 9일 오후 11시 20분쯤 정읍 제3산단 SK넥실리스 공장에서 옥외 탱크 배관 균열로 황산 40리터가 유출됐다. 불과 엿새 전인 3일에도 같은 산단 내 한국바이오에너지에서 화재로 4t의 황산이 새어 나왔다. 지난해 12월에는 에코파크에서 염산 10t이 누출돼 4t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사고가 있었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황산은 호흡기 손상과 토양·수생 생태계 파괴를 일으키는 유해 화학물질로 알려져 있어 주민 불안이 커지고 있다.
지역 시민사회단체는 연이은 사고가 불법·무허가 시설 운영과 노후 설비 관리 소홀, 취약 시간대 사고 발생 등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했다. 특히 한국바이오에너지의 경우 환경부 허가 없이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한 사실이 드러나 관리 사각지대가 확인되면서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단체들은 관계기관에 철저한 사고 원인 조사와 무허가 공장 사업주 처벌, 산단 내 모든 공장 전수조사와 결과 공개, 유해화학물질 불법시설 차단 시스템 구축을 요구했다. 또 정읍시 화학물질안전관리위원회의 실질적인 운영과 전북 차원의 화학사고 대응 지역협의체 구성 등을 촉구했다.
이들은 “반복되는 화학사고는 우연이 아니라 구조적 부실의 결과”라며 “더 큰 재난을 막기 위해 관계기관 간 정보 공유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