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은행권, 이자장사로 ‘돈방석’…반년간 수령 6350만원 ‘최고’

입력 : 2025-08-17 18:21:25 수정 : 2025-08-17 18:21:24
김수미 선임기자 leolo@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금융권 임직원 상반기 급여 보니

4대 은행, 2024년보다 300만원 증가
삼성·LG전자 등 주요기업 넘어
한투 김남구 회장 57억 ‘연봉 킹’

‘두나무’ 직원 평균 1억5000만원

올 상반기 4대 은행의 직원 1인당 평균 급여가 6350만원으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하며 삼성전자, LG전자, 카카오 등 주요 IT기업을 제쳤다. 금융권 최고 연봉은 김남구 한국투자금융지주 회장이 차지했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개된 시중은행의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은행 임직원이 올 상반기 수령한 평균 급여액은 635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6050만원) 대비 300만원(4.96%) 증가한 것이다. 상반기 기준 삼성전자(6000만원), LG전자(5900만원), 카카오(5800만원) 등 주요 IT기업 급여를 넘어섰다.

은행별로는 하나은행이 68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KB국민·신한·우리은행이 6200만원으로 같은 수준을 보였다. 이 추세라면 올해 4대 은행 평균 연봉은 1억2000만원을 넘어서며 지난해 평균(1억1800만원)을 상회할 전망이다.

4대 은행 직원 연봉이 고공행진을 하는 것은 은행들이 사상 최대 실적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올 상반기 은행을 포함한 4대 금융지주의 당기순이익은 10조3254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9조3456억원) 대비 10.5%(9798억원) 증가했다. 이는 반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다.

사진=뉴시스

4대 은행의 당기순이익도 8조96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조1130억원 늘었다. 금리인하기에 은행들이 역대급 실적을 기록한 것은 예금금리는 재빨리 내리고 대출금리는 가계대출 억제 명분으로 천천히 낮춰 예대마진을 방어했기 때문이다.

올해 상반기 금융권 ‘연봉 킹’은 총 57억3902만원을 받은 김남구 한국투자금융지주 회장이 차지했다. 김 회장은 한국투자증권에서 45억5102만원, 지주사에서 11억8800만원을 수령했다.

지주사 중에는 김기홍 JB금융 회장이 성과급 29억8200만원을 포함해 33억82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5대 금융지주 중에서는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이 17억5000만원으로 1위였고,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8억7100만원),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7억6100만원), 양종희 KB금융 회장(6억5000만원)이 뒤를 이었다. 이찬우 NH농협금융 회장은 보수가 5억원 미만으로 공시 대상에서 제외됐다.

은행권에서는 유명순 한국씨티은행장이 28억7600만원으로 1위, 이광희 SC제일은행장이 14억2800만원으로 뒤를 이으며 외국계 은행장이 국내 은행장들보다 압도적으로 높은 보수를 챙겼다.

한편 가상자산 업계에서는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 송치형 두나무 회장이 상반기 보수로 44억6168만원을 받았다. 두나무의 상반기 직원 보수도 평균 1억5269만원으로, 지난해 국내 4대 은행 직원의 평균 연봉(1억1600만원)을 웃돌았다.


김수미 선임기자 leol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엄정화 '반가운 인사'
  • 이엘 '완벽한 미모'
  • 조여정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