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탄 여섯 발, 여비 백 루블 홀로 하얼빈行’…“정말 비장한 내용”
경기도, 안중근 유묵 ‘長歎一聲 先弔日本’ 민간 탐사팀과 반환
‘獨立’은 반환 추진…“위대한 정신의 귀환 맞이하는 심정으로”
안 의사 고향 황해 해주 맞은편 임진각에 ‘안중근평화센터’ 조성
‘먹물을 찍어서 획을 그을 때는 방아쇠를 당겨서 총알을 내보낼 때처럼 몸의 힘이 종이 위로 뻗쳐 나갔다.’ (소설 하얼빈 中)
광복 80주년을 맞은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추천 도서는 소설 ‘하얼빈’이었습니다. 김 지사는 15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공개한 쇼츠 영상에서 “오늘 우리는 안중근 의사를 다시 한 번 생각하며, 하얼빈을 한번 읽어보면 어떨까 일독을 권한다”고 제안합니다.

◆ 안중근에 꽂힌 광복 80주년…“가난, 청춘, 결연한 정신”
하얼빈은 소설 ‘칼의 노래’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언론인 출신 김훈 작가의 작품입니다. ‘독립운동 영웅’인 안 의사의 짧고 강렬했던 생애를 소설에 담은 수작입니다. 작가가 안 의사의 삶이 뿜어내는 에너지를 글로 함축하기 위해 오랜 시간을 들여 ‘인간 안중근’을 연구한 뒤 집필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김 지사는 “사실 이 책을 2년 반 전에 읽었는데 최근 다시 읽었다”며 화두를 던집니다. 이어 김훈 작가가 책 말미에서 밝힌 집필 의도를 인용합니다.
‘나는 안중근의 대의보다 실탄 여섯 발과 여비 백 루블을 지니고 하얼빈으로 향하는 그의 가난과 청춘과 그의 살아있는 몸에 관하여 말하려 했다’는 문장을 소개했습니다. 이를 두고 “정말 비장한 내용이 아닐 수 없다”고 강조합니다.

또 소설에 등장하는 안 의사의 여순감옥 일화를 언급하며, 글씨를 쓰는 장면에서 느껴지는 안 의사의 결연한 정신을 얘기합니다. 김 지사는 “안중근 의사의 글씨는 힘이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 짧은 영상에서 김 지사는 현재 남아있는 안 의사의 60점 유묵(붓글씨) 가운데 두 점을 언급합니다. 바로 ‘독립(獨立)’과 ‘장탄일성 선조일본(長歎一聲 先弔日本)’입니다. 특히 후자는 ‘큰 소리로 길게 탄식하며 일본이 망함을 미리 조문하노라’라는 뜻을 담았습니다. 죽음을 앞두고도 흔들림 없던 안 의사의 기개와 역사관, 세계관이 오롯이 담긴 것으로 평가받습니다.


두 작품 모두 항일 독립의 의지를 직접 표현한, 몇 안 되는 귀중한 것들입니다. 31점의 유묵을 정부가 보물로 지정했는데, 두 유묵은 국보급으로 평가받는다고 도 관계자는 설명했습니다.
전날 경기도는 이 중 유묵 ‘장탄일성 선조일본’의 국내 반환에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안 의사가 여순감옥 등을 관장하던 일본제국 관동도독부 고위 관료에게 건넨 것으로 전해집니다. 이 관료의 후손이 일본에서 보관해 오던 것을 국내 한 민간 탐사팀이 발견했고, 귀환 협상을 하는 과정에서 올해 초부터 경기도가 힘을 보탰다고 합니다.
국내에서 공개된 바 없는 이 유묵은 민간 탐사팀이 회수해 국내 모처에서 보관 중입니다.
도는 안 의사가 뤼순 감옥에서 써서 간수에게 건넨 유묵 ‘독립’도 국내로 들여오기 위해 소장자와 협상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경기도와 민간 탐사팀, 광복회 경기도지부 등이 우선 구매 협약서를 확보한 상태라고 합니다. 이 유묵은 현재 교토 류코쿠대학이 일본인 간수의 후손으로부터 위탁받아 보관 중입니다. 국내에서 몇 차례 전시된 바 있으나 아직 귀환은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 “역사의 뿌리 세우고 독립 정신 되살리는 여정”
김 지사는 이날 수원 경기아트센터 대극장에서 열린 광복절 80주년 경축식 경축사에서 “지난 몇 년, 역사가 거꾸로 흐르는 듯한 순간들이 있었지만 광복 80년 경기도는 우리 역사의 뿌리를 굳건히 세우고 독립의 정신을 온전히 되살리는 여정을 시작했다”며 “그 여정의 이정표 중 하나가 바로 안중근 의사가 남기신 ‘독립’과 ‘장탄일성 선조일본’, 두 유묵”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장탄일성 선조일본’을 국내로 들여왔고, ‘독립’ 또한 조국의 품으로 귀환시킬 것”이라며 “대한민국이 마땅히 지녀야 할 위대한 정신의 귀환을 맞이한다는 심정으로 유묵의 완전한 확보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합니다.

이 자리에선 향후 경기도가 안 의사의 고향인 황해도 해주와 가까운 DMZ 지역에 ‘안중근평화센터’를 조성해 기념사업과 유묵 발굴·수집·전시 등을 할 것이란 계획도 밝힙니다. 현재 후보지로는 임진각 일원이 거론됩니다.
김 지사는 “확보한 유묵을 안중근 평화센터에 전시해 뜨거운 피로 써 내려 간 ‘독립의 영혼’을 모든 국민과 함께 기리고, ‘동양평화론’을 비롯한 안중근 의사의 뜻과 정신도 올곧게 이어가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날 행사에는 독립유공자 유족, 도민 등 약 1000명이 참석했으며 키르기스스탄·카자흐스탄·중국에서 거주 중인 의병장 허위, 교육학자 계봉우, 의열단원 이동화의 후손 7명도 함께했습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