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北 비난에도… 李, 15일 ‘남북신뢰 회복’ 비전 밝힌다

입력 : 2025-08-14 17:45:45 수정 : 2025-08-14 20:55:09
김병관·박지원 기자

인쇄 메일 url 공유 - +

김여정 “韓과 관계개선 의지 전혀 없어
허망한 개꿈… 대남 확성기 철거 안 해”

李 광복절 경축사 대북정책 방향 제시
정부 유화조치 흔들림 없이 추진 입장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14일 이재명정부의 대북 유화책을 두고 “허망한 개꿈”, “너절한 기만극”이라고 깎아내리며 “한국과의 관계를 개선할 의지가 전혀 없다”고 못 박았다. 이런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은 15일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남북 간 신뢰 회복에 주안점을 둔 대북 정책 비전을 밝힐 예정이다.

 

김 부부장은 이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공개된 담화에서 “우리의 국법에는 마땅히 대한민국이 그 정체성에 있어서 가장 적대적인 위협 세력으로 표현되고 영구 고착되어야 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14일 경기도 파주시 접경지역에서 바라본 북한군 초소 옆에 대남 확성기가 설치돼 있다. 연합뉴스

김 부부장은 특히 이 대통령이 지난 12일 국무회의에서 “북측도 일부 확성기를 철거하고 있다고 한다”고 말한 데 대해 “무근거한 일방적 억측이고 여론조작 놀음”이라며 “우리는 국경선에 배치한 확성기들을 철거한 적이 없으며 또한 철거할 의향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지난 9일 “북한군이 전방 일부 지역에서 대남 확성기를 철거하고 있는 활동이 식별됐다”고 밝힌 바 있고, 이 대통령은 이를 우리 군의 대북 확성기 시설 선제 철거에 대한 호응 조치로 평가했다. 그러나 북한 확성기 40여대 중 2대에 대한 철거 동향이 포착됐을 뿐이며, 이 중 1대는 당일 복구된 것으로 전해졌다.

 

김 부부장은 또 한·미가 8월 연합 군사훈련 일부를 다음 달로 연기한 것에 대해서도 “평가받을 만한 일이 못 되며 헛수고로 될 뿐”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미국의 충성스러운 하수인이고 충실한 동맹국인 한국과의 관계를 개선할 의지가 전혀 없다”며 “이 결론적인 입장과 견해는 앞으로 우리의 헌법에 고착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해 1월 헌법에 ‘적대적 두 국가론’을 반영할 것을 지시한 바 있다.

 

정부는 그럼에도 남북 신뢰 회복 조치를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지난 3년간의 ‘강 대 강’ 남북관계로 인해 남북 간 불신의 벽이 높고 북한의 적대적 태도도 여전하다”며 “이런 상황을 감안해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평화의 소중함과 함께 남북 간 신뢰 회복의 필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 부부장은 미국에 대해선 조건부 대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우리는 미국과 마주 앉을 일이 없다”면서 곧바로 “되돌릴 수 없는 과거에 집착하는 회담에 대해서는 전혀 관심이 없다”는 조건을 달았다. 미국과의 핵 군축 협상에는 임할 수 있다는 뜻이 내포돼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김병관·박지원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엄정화 '반가운 인사'
  • 이엘 '완벽한 미모'
  • 조여정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