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층은 “사면 반대” 행사 보이콧
분열만 부각돼 순국선열 통탄할 듯

순국 선열, 독립 유공자를 위시한 3000만 동포의 희생 위에서 달성한 영광의 광복 80주년을 맞았다. 우리는 35년 일제강점기의 암흑을 끝내고 빛을 되찾은 뒤 80년간 질주해 ‘한강의 기적’으로 불리는 오늘의 산업화와 민주화를 달성했다. 대한민국의 성취를 국민 한 사람 한 사람 모두 긍지를 갖고 자축할 날이다. 6·25전쟁, 권위주의, 경제대란 등 위기 때마다 나라를 구한 5000만 국민의 의지와 단결 없이는 결코 이루지 못했을 오늘이다. 현재 결실에 안주하지 말고 7000만 동포의 분단 극복, 안보·경제적 도전 대응, 양극화 해소 등 우리가 직면한 과제의 해결과 우리 공동체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진로를 고민하는 하루가 되길 바란다.
이런 의미 있는 날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릴 이재명 대통령의 국민임명식이 반쪽 행사로 치러지게 됐다. 보수 정당인 국민의힘과 개혁신당이 이 대통령의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윤미향 전 의원 등에 대한 사면에 반발해 보이콧한다. 민주노총은 노란봉투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지 않았기 때문에 참석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광복 80주년 행사에서 통합이 아닌 분열만 부각되게 됐으니 지하의 순국선열이 통탄할 일이다.
애초에 광복절 80주년인 오늘 취임식 성격의 국민임명식을 해야 했나 아쉬움이 남는다. 이 대통령은 6·3 대선 승리 후 다음날 국회에서 취임식을 가졌다. 당시 취임식이 임시행사이고, 외교사절 등을 초청하는 정식행사가 필요했어도 굳이 광복 80주년인 오늘을 택할 이유가 있었나 묻고 싶다. 이재명정부의 출범과 광복 80주년을 과도하게 연계함으로써 오히려 정치적 갈등만 키운 것은 아닌가. 광복 80주년의 역사적 의미는 희석되고, 취임 이벤트는 분열과 대립만 부각되는 것은 아닌지 안타깝다. 국민통합과 실용주의를 강조하는 이재명정부답지 않은 선택이다.
대통령에게 임명장을 수여할 국민대표 80명 선정 기준도 궁금하다. 정부는 역사적 의미와 사회적 공헌을 고려해 뽑았다고 한다. 현재 공개된 인물 대부분 개별적으로는 훌륭하지만 광복 80주년의 의미와 결합하면서 논란이 빚어진다. 지난 80년 역사에서 바둑기사 이세돌은 되지만 조치훈·조훈현·이창호는 왜 안 되나, 영화감독 강제규는 되지만 봉준호·박찬욱·이창동은 왜 안 되나, 독립군 후손은 있는데 6·25전쟁·베트남전 참전용사는 포함됐나. 이런 질문에 답을 줘야 앞으로도 잡음이 없을 것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