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 기마대부지 등 1.5만호 추가
AI 등 국유재산 특례 감면 신설
정부가 노후 공공청사와 국유지를 활용해 청년·서민층을 위한 공공주택 3만5000가구 이상을 공급하기로 했다. 이 가운데 약 1만5000가구가 신규 물량이다. 또 인공지능(AI) 등 첨단산업에서 국유재산을 활용할 때 사용료를 재산가액의 1%로 낮춰 주기로 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27차 국유재산정책심의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6년도 국유재산종합계획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의 핵심은 정부 소유 토지와 건물을 활용한 대규모 공공주택 공급이다. 2035년까지 서울 용산 유수지와 종로 복합청사 등 이미 계획된 공공주택 약 2만호를 당초 계획보다 앞당겨 공급한다. 신규로 공급되는 1만5000가구는 서울 성수동 경찰기마대부지, 경기 광명세무서, 서울출입국관리사무소 등 도심 내 노후 공공청사와 역세권 유휴부지를 추가 발굴해 조성한다.
정부는 ‘초혁신경제’ 기조에 맞춰 AI 등 첨단산업에 대한 국유재산 사용료 특례 감면도 신설한다. 현재 국유재산 사용료는 재산가액의 5%가 기본이다. AI 관련 산업이 국유재산을 사용할 경우에는 최저수준인 1%를 적용해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신재생에너지·친환경차 보급사업 등에는 2.5%를 적용해 왔는데, 이를 1%로 추가 인하하는 등 전략산업 지원을 확대한다.
정부는 이날 100억원을 초과하는 국유재산 처분절차 강화, 물납증권 최소 배당액 기준 정비를 통한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의 수탁자 책임활동 강화 등도 함께 의결했다.
구 부총리는 “과거 국유재산을 재정의 보완수단으로 봤다면, 이제는 초혁신경제 성장을 뒷받침하는 국민 모두의 공동자산으로 봐야 한다”며 “국유재산의 창의적 활용을 통해 미래세대를 포함한 공동체 모두의 행복이 증진되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