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사용하는 수건은 얼마나 자주 세탁해야 할까. 한번 사용한 수건을 여러 번 반복해 쓰는 행동이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프림로즈 프리스톤 레스터대 임상 미생물학 교수는 지난달 20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과 인터뷰에서 “수건은 최대 두 번까지만 사용하고 반드시 세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깨끗한 수건도 몸을 닦은 후에는 더 이상 깨끗하지 않다”며 “더러운 수건은 갓 씻은 피부를 다시 더럽힌다. 이 때문에 (수건 재사용은) 씻은 의미가 없어지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수건으로 몸을 닦을 때 수천 개의 피부 세포와 수백만 개의 박테리아·곰팡이 등 미생물이 수건에 묻어난다”며 “욕실은 따뜻하고 습해 세균과 곰팡이가 증식하기 좋은 환경”이라고 덧붙였다.
프리스톤 교수는 특히 면역력이 약한 사람은 반드시 수건을 사용할 때마다 세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러 사람이 한 수건을 사용했을 때, 황색포도상구균·클렙시엘라 등에 노출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반복적으로 노출될 경우 발열이나 천식, 알레르기성 피부염, 피부 감염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젖은 수건을 그대로 세탁기나 세탁 바구니에 넣어두는 습관도 냄새와 세균을 악화시킬 수 있다. 엠폭스(원숭이두창)과 같은 치명적인 바이러스도 수건을 통해 전파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 주장이다. 바로 세탁하지 못할 경우에는 널어서 말린 후 세탁 바구니에 넣어야 한다.
실제 수건을 단 한 번만 사용해도 세균이 급격하게 늘어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한국분석시험연구원 실험 결과에 따르면 1회 사용 후 건조하지 않은 수건은 미생물 집락형성단위(CFU)가 57만으로 급격하게 증가했다. 3회 사용한 후 건조한 수건은 CFU가 15만2500으로 측정됐다. 3회 사용하고 세탁·건조한 수건은 완벽하게 살균되지 않았다.
프리스톤 교수는 “수건을 빨래할 때, 60도 이상의 뜨거운 물과 세제를 사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세탁 후에는 완전히 건조하고 습한 화장실이 아닌 건조한 곳에 보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