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위 “14일 소명 듣고 징계 결정”
‘즉각 제명’ 전망과 달리 결론 미뤄
全은 12일 부울경 연설회 참석 예고
최고위원 후보 4명 우파 유튜브 출연
강경 보수 당원 표심 겨냥 全 두둔
‘친길 대 반길’ 구도로 고착화 우려
대선 패배 이후 반등 계기를 마련해야 할 국민의힘 전당대회가 극우 성향 인사 전한길씨 논란으로 ‘전한길 대회’라는 오명을 쓰고 있다. 합동연설회에서 소란을 일으킨 전씨를 상대로 국민의힘은 뒤늦게 징계 절차에 착수했지만, 징계 수위와 시기를 둘러싸고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당 지도부의 경고에도 전대 출마 후보들은 강경 보수 성향 당원들의 표심을 의식해 전씨와 거리를 두지 않는 모습이다.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는 11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회의를 열고 전씨를 대상으로 징계를 개시하기로 결정했다. 여상원 윤리위원장은 회의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전씨의 사안이 징계 개시를 결정할 만한 사안”이라며 “전씨의 행동은 민주적 절차를 무시한 것으로 언론 보도를 통해 보고받았다”고 말했다.
윤리위는 이날 전씨에 대한 징계 여부를 결정하진 않았다. 윤리위는 당사자인 전씨에게 소명 자료 등을 제출받은 뒤 14일 다시 회의를 열고 징계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전씨는 앞서 8일 대구·경북 합동연설회 당시 김근식 최고위원 후보 등 찬탄(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찬성)파 후보의 연설을 듣던 도중 당원들을 향해 “배신자” 구호를 유도하는 등 장내 소란을 일으킨 바 있다.
당 안팎에서는 윤리위가 전씨에게 소명 기회를 준다는 이유로 징계를 미룬 것에 대한 비판도 제기된다. 당초 정치권에서는 윤리위가 이날 전씨를 상대로 제명 등 최고 수준의 중징계를 내릴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윤리위의 계획대로 14일에야 징계 조치가 이뤄질 경우, 전씨는 부산·울산·경남(12일)과 충청·호남(13일) 합동연설회 일정에도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국민의힘 당규는 ‘징계 사유가 중대하고 명백한 경우 윤리위 재적위원 과반수 의결로 소명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같은 비판에 대해 여 위원장은 “전씨가 특별 대우를 받으면 안 되지만, 다른 당원이나 징계 대상자보다 불리한 대우도 받으면 안 된다”며 “소명 절차를 주지 않고 징계를 받은 사람들은 항상 ‘자의적으로 징계한다’는 불만을 갖는다”고 해명했다.
당 전대 선거관리위원회 역시 같은 날 회의를 열고 전씨의 소란과 관련해 재발 방지책을 논의했다. 함인경 선관위 대변인은 “장내 질서 문란 행위가 발생할 경우 선관위 차원에서 엄중히 경고하는 것으로 의결했다”고 말했다. 함 대변인은 “선관위 차원에서 질서 유지권이 있다. 현장에서 너무나 소란스럽게 하면 자리에서 제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씨가 대구·경북 합동연설회에 언론 취재 비표를 착용하고 입장한 것과 관련해 함 대변인은 “(전씨가) 다른 언론사에 배포된 비표를 이용해서 들어간 것으로 파악했다”며 “재발할 경우 엄중하게 조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전대에서 함부로 소란을 피우면서 당의 명예를 실추시키고 당의 분열과 갈등을 조장하는 선동 행위는 결코 용납될 수 없다”며 “전씨의 전대 행사장 주변 출입은 당 차원에서 이미 엄격히 금지했다”고 밝혔다.

지도부의 엄포에도 불구하고 전대 출마 후보 상당수는 여전히 ‘친길’(친전한길) 경쟁에 주력했다. 윤 전 대통령을 옹호해온 전씨와 거리를 좁힘으로써 강경 보수층의 표심을 얻으려는 차원으로 해석된다.
김민수·김재원·김태우·손범규 최고위원 후보 4명은 이날 온라인으로 중계된 전씨 등 우파 성향 유튜버 주관 토론회에 출연했다. 당대표 후보 4명 중 김문수·장동혁 후보 역시 당내에 불거진 ‘전한길 논란’과 관련해 전씨를 두둔하는 입장을 이미 수차례 피력한 바 있다. 전대 구도가 ‘친길 대 반길’로 고착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편 전씨는 이날 자신에 대한 징계 개시 결정에 반발해 중앙당사에 김근식 후보 징계 요구서를 제출했다. 전씨는 요구서를 낸 뒤 기자들과 만나 “(나에 대한) 제재가 있다면 당원들이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씨는 부울경 합동연설회 참석 여부에 대해서도 “지도부는 출입 금지시켰지만, 당원들과 함께하고자 하는 마음만은 막을 수 없을 것”이라며 인근에서 유튜브 방송을 진행할 것이라고 답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